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2014. 7. 29. 11:26

한 바퀴 돌아오는 전기의 길 전기산업특집2014. 7. 29. 11:26

한 바퀴 돌아오는 전기의 길


상식그림3.jpg

 

전기도 흐르는 길이 있다. 

전기를 내보내는 소스 즉 전원(電源)에서 흐르기 시작해 도중에서 작업을 하고 다시 출발점인 전원으로 되돌아오는 것이다. 이렇게 전기가 한 바퀴 돌아서 다시 출발점으로 되돌아오는 순환회선을 루프(回路)라고 한다.

도로에 포장된 넓은 길, 좁고 울퉁불퉁한 골목길 등 다양하듯이, 전기에도 이와 비슷한 현상이 있는데 이것을 바로 저항(抵抗)이라고 한다.

전원에서 나온 전기는 전구나 라디오, 세탁기, 냉장고 등 전기기구를 만나 이들을 작동하게 하는 작업을 하며, 이때 전기를 사용해 작동하는 물체를 부하(負荷)라고 한다. 이렇게 전원에서 나와 부하를 거쳐 다시 전원으로 돌아가는 루프를 전기회로라고 한다. 전원이란 구체적으로 전지나 발전기를 의미한다. 

우리는 흔히 ‘전기를 쓴다’는 식으로 표현한다. 그 때문에 전원에서 나온 전기가 전기기구를 작동시키게 되면 점점 전류가 적어져서 전원으로 돌아간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전원에서 나간 전류의 크기와 전원으로 돌아오는 크기는 항상 같다. 즉 회로의 도중에서 만들어지거나 소멸하지 않는다는 것이 전류의 중요한 성질이다.

전기회로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이미 전지, 저항 등이 나왔지만, 실제의 회로에는 이밖에도 스위치, 콘덴서, 코일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들을 능률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회로도를 그린다. 이 회로도를 결선도(結線圖)라고도 한다.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한 바퀴 돌아오는 전기의 길
:
Posted by 매실총각
2014. 3. 13. 14:34

3월 전력 용어 전력용어/영어2014. 3. 13. 14:34

 


3월 전력 용어

 

 

■ 접지(接地, Earth)
전기기기의 일부를 대지(大地)에 잇는 것을 말한다. 기기의 전위(電位)를 대지와 동일한 전위로 유지하고 또 대지를 전기회로의 일부로 이용하기 위해 전기회로 또는 전기기기 외함(Case)의 일부를 지중(地中)에 매설한 도체와 연결하는 것을 접지라고 한다. 접지는 저항값을 적게하면 유효하므로 저항이 작은 도선으로 대지에 잇는다. 이로 말미암아 대전도체(帶電導體)의 전위는 대지와 같게 되므로 누전이 되더라도 사람이나 가축이 감전되지 않는다. 전기기기의 외함이나 피뢰침 등을 접지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전력계통에서 접지는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이상 현상에 대비하여 대지와 전력설비를 연결하는 것으로 다중접지, 직접접지, 저항접지 등의 여러 가지 방식이 있다. 


■ 접촉저항
도체와 도체가 접촉하고 있으면 그 접촉된 부분에 저항이 있게 된다. 접촉된 부분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대체로 그 부분에 저항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을 접촉저항이라 한다.


■ 정격(定格, Rating) 
개개의 전기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적당하다고 정해진 출력, 속도, 전압, 전류, 회전수 등의 값을 말한다. 제작사가 보증하는 기기의 사용 한도로 명판(Name Plate)에 표시한다. 


■ 정격전류(定格電流, Rated Normal (continuous) Current)
개폐장치의 정격전류란 정격전압 및 정격주파수, 규정한 온도상승 한도를 초과하지 않는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흐를 수 있는 전류의 한도를 말하며, 우리 회사에서 표준으로 적용하고 있는 차단기의 정격전류는 600, 1200, 2000, 3000, 4000, 8000A가 있다.


■ 정격전압
명판에 기재된 변압기 권선의 단자전압 실효치를 뜻하며, 탭이 없는 권선의 단자 간 또는 탭이 있는 권선은 기준 탭에 접속되는 단자 간에 인가되는 지정전압 또는 무부하시 전압이다.


■ 정격출력(定格出力, Rated Output)
소정의 조건으로 터빈을 운전하는 경우 발전기 단자에서의 보증 최대연속 출력을 말한다. 터빈 축 끝에서의 보증 최대 연속 출력으로, 그 기기에 대하여 제작사가 보증하는 사용 한도를 출력으로 표시한 것이다.


■ 정격치(定格値, Rating) 
계전기의 특성치가 성능의 보증기준이 되는 양, 예를 들면 정격전류, 정격전압, 정격주파수 등을 말한다. 단, 전류회로는 정격치 전류의 연속통전에 견디어야 한다.


■ 정도개선(精度改善)
원격소단말장치(RTU) 또는 다른 제어설비로부터 중앙급전장치(EMS) 또는 원방감시제어시스템(SCADA)으로 취득되는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이는 일련의 행위를 말한다. 


■ 정동작(正動作)/정부동작(正不動作)
계전기가 동작하여야 할 경우에 동작하는 것을 정동작이라고 한다. 즉 보호구간 내에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 사전에 지정된 조건(이를 정정 값이라 한다) 따라 정상적으로 응동(應動)하는 것을 말한다. 계전기가 동작하지 말아야 할 경우에 동작하지 않는 것을 정부동작이라 한다.


■ 정보공개위원회(情報公開委員會, Market Information Committee)
전력시장에 관한 정보공개 업무의 공정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원대표, 공익대표, 정부대표 및 전력거래소대표로 구성된 심의·의결기구를 말하며, 회원의 정보공개 요청사항(항목, 범위, 방법 및 보관기간)에 대한 공개여부, 정보공개에 따른 타 회원의 피해예방 대책, 정보공개에 따른 보안대책, 정보공개제도의 운영에 관한 사항 등을 위원회에서 심의·의결한다.  


<자료제공 : 전력통계정보시스템 https://epsis.kpx.or.kr>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3월 전력 용어

'전력용어/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전력 용어  (0) 2014.04.02
3월 전력 영어  (0) 2014.03.13
2월 전력 영어  (0) 2014.02.13
2월 전력 용어  (0) 2014.02.13
1월 전력 영어  (0) 2014.01.13
:
Posted by 매실총각

전기박사01월메인.jpg

 

 

 

삼상, 위상차로 높았다 낮았다 반복으로 전기 흘러

 

 

 

Q. 3상에서 전류 Ia, Ib, Ic 가 흐르는 상에서 1선 지락사고가 a상에서 발생하여 지락전류 Ig가 흐를 때 이론상에서 계산을 할 때, 지락 전류는 모두 a상 Ig가 되고 Ib, Ic=0으로 하고 계산을 하는데 Ib, Ic=0 이 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간단히 말해 접지식에서는 영상전류가 흐르고 비접지식에서는 영상전류가 없는 이유. 접지식에서만 영상분(영상전류)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비접지식에서는 델타견선이므로 델타결선 내를 순환하므로 접지식에서만 접지선으로 흐르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 내용이 맞는 것인가요?

 

A. 영상이라는 것은 0 즉 ZERO상 이라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3상4선식 전력기기에 있어서 상을 이야기 할 때 R, S, T, O상이라 말합니다. 여기에서 O상은 R, S, T상의 중성점입니다. 변압기의 중성점과 부하의 중성점 간의 전압을 영상전압이라 하고 그 전압에 의하여 부하의 중성점에서 변압기의 중성점으로 흐르는 전류를 영상전류라 합니다.

전압과 부하가 평형이라면 영(零)상전압이 0V이고 영(零)상전류도 0이 됩니다. OVGR은 그 전압을 검출하여 동작을 하는 것이고 OCGR은 그 전류를 검출하여 동작을 하는 것입니다. 지락전류는 접지선으로만 흐르는 전류입니다. 그러나 O(零)상 전류는 변압기 중성점으로 흐르는 전류입니다. 하여 O(零)상 전류≥지락전류입니다.

 

 

 

Q. 트랜스를 교환하다 궁금한 것이 생겨 질문하게 되었습니다. 단상 다운트레스 1차 측 440V 2차 측 220V입니다. 2차 측에 220V를 입력하면 1차 측에 440V가 출력되는지 궁금합니다.

 

A. 당연히 440V 출력됩니다. 다운 트랜스 220V/110V이라도 2차 측에 110V를 인가하면 1차 측에 220V가 출력됩니다. (승압트랜스로 사용 가능) 트랜스 설계할 때 전압에 맞는 권선비로 설계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만약 440V/220V 트랜스에 단순히 전압비만 적용하여 2차 측에 440V를 인가시켜 1차 측에 880V를 출력시키려고 한다면 타버리겠지요.

 

 

 

Q. 제가 쇼트 나서 타버린 모터 절연저항 측정할 때 녹색선이 중성선 맞죠? 중성선과 알상 찍을 때 왜 저항이 무한대인지 궁금하고요. 외함이랑 알상 찍을 때도 왜 무한대인지 알고 싶네요.

 

A. 피복된 코일을 철심의 슬롯에 넣을 때 누전을 막기 위해 절연지를 끼워 넣습니다. 코일과 철심은 전기적으로 떨어져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절연저항 값이 무한대가 나오는 것은 극히 정상적인 것입니다. 어떤 사고로 인하여 코일이 탔어도 절연지가 멀쩡하다면 절연검사 시 정상(무한대)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Q. 1. 중성선 or 접지에 흐르는 전류에 관한 질문입니다. 예를들어, 콘센트(220V)에 청소기 플러그를 꼽으면 청소기가 동작합니다. 콘센트의 한선은 전압선이고 한선은 중성선입니다. 궁금한것은,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으면 전선을 따라 전류가 흘러들어와 부하(청소기)를 통해 쓰고남은(?) 전기가 다시 중성선으로 흘러 들어가는겁니까? 아니면 청소기 플러그를 꽂으면 쓸만큼의 전기가 들어와 청소기가 쓰고 소진되는 겁니까? 전기의 흐름이 궁금하네요.

2. 관련해서 하나 더 여쭤보면, 사고가 났을 때 접지가 되있으면 대지로 이상전류가 흐르는데, 이 전하들은 다 어디로 갈까요? 땅에 그대로 있는건지, 어디로 가는건지, 전류의 흐름이 궁금합니다.

 

A. 1. 전기의 흐름은 전하의 이동입니다. 전하는 + 전하와 - 전하가 있습니다. +, - 전하를 나누어 가지고 있는 것을 전원이라 합니다. + 전하가 있는 곳의 전위를 + 전위 + 전압이라 하고 - 전하가 있는 쪽이 - 전위 - 전압이라 합니다.

부하가 개방이 되어 있을 때에는 전원에서 개방이 되어 있는 곳까지 + 전하와 - 전하가 나누어 충전이 된 상태로 있다가 폐로가 되면 그 충전된 전하 + 와 - 가 + 전하는 전원의 - 전압, - 전하가 있는 쪽으로 -전하는 전원의 + 전압, + 전하가 있는 쪽으로 이동을 합니다. 그러면 이동이 된 전하는 전원의 전하와 반대의 전하이기 때문에 전원에서 그만큼 서로 결합이 되어 없어집니다.

이렇게 계속 전원 쪽에 있는 전하가 부하를 거쳐 서로 다른 전하가 있는 전원 쪽으로 이동을 하는 것이 전기의 흐름입니다. - 전하의 이동방향을 전자의 방향이라하고 + 전하의 이동을 전류방향 이라 합니다. 부하는 전하의 이동을 방해합니다. 부하가 전하의 이동을 방해 하기 때문에 +, -전하가 그 부하에서 에너지를 소모합니다.

전원에서 이동하는 전하는 부하에 의하여 정하여지고 그 전하만큼 전원에서 없어집니다. 이렇게 전하를 공급해주는 전원이 발전기나 축전지가 되는 것입니다. 중성선도 (전력선) 전압선입니다. 변압기 중성점에서 접지를 하여 대지의 전위가 같다는 차이밖에 없습니다.

2. 접지가 되어 대지로 흐른 전류(+전하)는 다시 전원 쪽 변압기로 되돌아갑니다. 단 그 전류가 흐르는 길이 정상적인 전선로가 아닌 비정상적인 접지, 땅을 통하여 흐르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곳에서 원하지 않는 일을 하여 화재, 폭발, 감전 등을 일으키게 됩니다. 하여 원하지 않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접지를 하고 그 전류에 견딜 수 있는 접지선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Q. 5층에 차동식 감지기 고장이 나서 방재실 수신반에 화재 발생이라고 떴습니다. 그 오동작 난 감지기를 찾아서 제거하지 않으면 습식 스프링 쿨러가 터지나요?

 

A. 현재 건물들에 사용되는 스프링쿨러 설비는 대충 1.건식 2.습식, 3.준비작동식 4.일제살수식 이런 종류들이 있습니다. 이 중에 자동화재탐지설비 감지기와 연동되어 사용되는 종류는 3.준비작동식 4.일제살수식이고 이 중에 또 일제살수식은 구성이나 설계에 따라 연동이 되는 경우도 있고 안되는 경우도 있으며 보통 지하층에 많이 사용됩니다. 다음은 준비작동식인데 엄밀히 말하면 건식의 일종으로 동작원리가 각층 알람밸브라는곳까지는 평소에 가압수가 도달해있고 화재감지기가 a, b 중 한 개가 동작하면 경보만 둘 다 동작하면 밸브를 열어 가압수가 스프링쿨러 헤드 말단까지 도달됩니다. 여기서 헤드부분이 화재를 다시 감지를 해서 밀봉 부분이 터져야 최종적으로 물이 분사가 됩니다. 질문하신대로 감지기 오작동으로 구분된 a, b 두회로가 모두 동작되어도 가압수가 헤드까지만 도달할뿐이니 안심하셔도 될듯합니다. 복구는 각층 알람밸브에서 밸브를 잠그고 시험밸브 등으로 가압수를 빼주시고 다시 세팅한 후에 사용하면 됩니다.

 

 

 

Q. 단상과 삼상을 생각하다가 궁금한 점이 생각나서요. 단상은 말 그대로 단상인데 왜 선이 2개죠? 인터넷 검색해보니까. 한선으로 들어가고 한선으로 나가서 2개인 건가요? 이게 만약 맞다면 삼상은 어느 선으로 들어가고 어느 선으로 나가는 건가요? 만약 위 말이 다 틀린다면 단상과 삼상에 대해서 정말 간단하고 쉽게 알려주세요.

 

A. 단상 1Phase 2Wire 단상은 상이 한 개입니다. 선이 2가닥일 뿐이죠, 그리고 전기는 높은 전위에서 낮은 전위로 흐릅니다. 한선만 있으면 전위차가 없기 때문에 흐르질 못합니다. 그래서 높은 전위인 전압선(핫상)에서 낮은 전위인 중성선으로 흘러야 하기 때문에 선이 두 가닥이 필요합니다.

삼상은 선이 3가닥인데(3상4선식, 380V 기준) 각각의 위상차가 120도로 이것들이 서로 위상차가 높았다가, 낮았다가를 반복하므로 그 위상차(전위차)에 의해 전기가 흐릅니다. 그러므로 전기는 큰 위상에서 작은 위상으로 흘러가겠죠. 이걸 (RST)위상차 순으로 들어와서 역시 위상차 순으로 나간다고 표현합니다.

 

 

 

Q. 와이델타 기동 운전 시 y 결선으로 기동을 하면 투입전압이 380인 경우 220이 되고 기동전류는 1/3로 감소한다. 이렇게 알고 있는데요. 의문 1. y 결선에서는 상전류와 선전류는 같지 않나요? 어떻게 감소가 된다는 말인지? 의문 2. 380 모터에 220이 걸려도 아무 이상 없는지요?

 

A. 의문 1. 상전류와 선전류의 의미가 아니고 직입기동에 비하여 1/3배로 감소가 된다는 말입니다. 의문 2. 선간에는 그냥 전압 변화가 없습니다. 델타는 Coil에 선간전압이 걸리지만 Y에서는 Coil에 상전압(선간전압/√3)이 걸리는 것입니다. 운전을 할 때에는 문제가 생깁니다. 그리고 전압이 너무 낮으면 기동을 시킬 수 없습니다. 하지만 Y로 기동 할 때에는 짧은 시간이기 때문에 크게 문제는 없습니다.

 

 

 

Q. 피뢰기 제한 전압비는 제한전압 파고치/정격전압인데 정격전압은 18kV이면 제한전압은 어느 정도인가요

 

A. 국제 규격인 IEC를 보며 몰드변압기의 경우, 24kV일 때, 95BIL 또는 125BIL로 되어 있으며, 유입변압기는 150BIL로 되어 있습니다. 95와 125로 나누어진 기준이 설치환경에 따라 나누어져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유입변압기는 주로 옥외에, 몰드변압기는 주로 옥내에 설치하기에 제작사에서는 22.9kV일 때 95BIL을 적용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즉, 충격전압은 외부에서 강한 뇌써지 전압이 유입되었을 때 변압기가 견디는 정도인데. 몰드처럼 주로 옥내에 위치한다면 강한 뇌써지 전압이 유입될 가능성이 적으므로 BIL을 규격상에서 낮게 선정해 놓은 것입니다.

그러나 현실은 강한 뇌써지 전압이 유입된다면 유입이나 몰드나 변압기 사고는 무조건 발생합니다. BIL의 크기와는 상관없이 유입변압기가 강한 뇌써지 전압으로 인한 사고로 추정되는 경우가 많은 이유가 유입변압기가 옥외에 설치되다 보니 뇌써지 전압을 직접적으로 받은 경우가 많기 때문일 겁니다.

 

 

 

Q. 가정 단상 220V를 기준으로 중성선은 변압기2차 측에서 2종 접지하는데, 그럼 집안 세대 분전반에서 분기차단기 2차 측에서 메거링할때 2차 측 우측 선이 중성선이라고 한다면 이 선의 절연저항은 변압기에서 2종 접지하였으므로 그 영향을 받아 절연이 안좋아야하는게 사실 아닌가요? 핫상누전시 2차 측에서 서로 상을 바꾸어 결선하여 누전을 임시조치하는 경우가 간혹 있잖아요, 그런데 이중성선도 어느 정도 절연이 안좋으면 트립이 되나요? 핫상전선은 절연양호한데, 중선선의 절연이 안 좋아서 차단기가 트립되는 경우도 있나요? 스위치공통선(핫상)이 누전일 경우 스위치On/Off와 상관없이 차단기는 트립되잖아요, 그렇다면 등공통(중성선)누전시 에는 스위치 On/Off와 어떤 관계에 의해 차단기가 트립될수 있나요?

 

A. 중성선은 변압기 2차 측에서 2종 접지를 합니다. 차단기가 올라가 있을 경우에는 중성선과 접지는 변압기 중성점에서 Common이 되어 있기 때문에 절연이 0으로 나옵니다. 세대의 경우 중성선 절연저항이 높게 나타나는 이유는 차단기를 내리고 측정을 하기 때문입니다. 분전반에서 분기차단기 2차 측 Meggering을 할 때는 분기용 차단기를 Off하고 하여야 합니다.

Hot Line 누전 시 2차 측에서 상을 서로 바꾸어 임시조치가 되는 경우는 누전 정도가 심하지 않았을 경우입니다. 누전이 되어도 중성선으로 많은 전류가 흐르고 접지로 적게(감도전류 이하)로 흐르기 때문입니다.

Hot Line에서 오는 전류가 중성선으로도 흐르지만 절연이 좋지 않으면 접지선으로도 많은 전류가 흐르기 때문입니다. Off를 시키면 Hot Line에서 오는 전류가 차단이 되기 때문에 즉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이고 On을 시키면 S/W를 통하여 등으로 중성선과 접지선 으로 흐르게 되어 Trip이 될 수 있습니다. S/W는 필히 Hot Line 쪽에 설치가 되어야 합니다.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삼상, 위상차로 높았다 낮았다 반복으로 전기 흘러
:
Posted by 매실총각





접지 종류사고전류가 전압크기에 따라 달라 구분







 

 

Q. 보통 접지공사별 접지 저항치나 어떤  무슨 접지공사를 하라고 책에 나와 있잖아요그런데 소화기면 분말소화기도 있고 CO2소화기할론 소화기   이렇게 종류가 있고 이럴  이런 소화기를 쓴다이렇게 외우고  분말소화기는 용기 속에 봉해 넣은 분말상의 약제를 분출시켜서 소화하는 소화기구라 한다면 접지공사는 접지 저항치가 10Ω 이하일 때는 1 접지공사를 하는구나400V 이상일 때는 특별제3종을 하는데갑자기 의문든   1 접지공사가 뭐고 2종이 뭐고 3 특별 3종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1 접지공사는 어떻게 하는 접지공사이고 어떤 거다 이런 식으로  알려주세요.

 

A. 접지란 전류를 대지로 흘려주기 위하여 접지봉 또는 동판을 땅에 묻고 전선으로 연결해 주는 것을  합니다접지로 흐르는 전류는 비정상적인 전류로 사고나 낙뢰 시에 발생하는 전류입니다여기에서 1, 2, 33종은 사고전류가 전압 크기에 따라 위험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각각 요구되는 저항값을 정하고  저항값이 나오도록 접지극을 설치하는 것입니다저항값이  나오게 하려면 접지용판을 넓게 한다든지 접지봉을 많이 박는다든지 땅이 전기가  통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Q. 절연내력 시험전압을   최대사용전압의 배수를 주는 거잖아요근데 비접지 중성점접지중성점직접접지중성점 다중접지로 나누는 이유가 뭔가요그리고 전로랑 전선의 차이도  부탁할게요.

 

A. 절연내력을 측정할  전선로와 접지 간에 측정을 합니다전선로와 접지 간에 걸리는 전압은 접지방식에 따라 사용전압과 다르기 때문입니다비접지는 델타결선으로 사용전압을 가지고 하지만 접지식은 상전압  사용전압/3 가지고 하기 때문입니다접지방식을 나눈 이유는 접지방식에 따라 전선로에 걸리는 전압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Q. 64 59G 차이가 궁금합니다어느 기술사 분께서  책을 뒤져보니 64 59G 같다고 하던데  다른 책의 원서를 보면64 NEF라고 부르고 59G OVGR이라고 따로 나누던데 어떤  진실인지 알고 싶습니다같은 계전기를 별도로 나누면서까지 같은 펑션을 쓸리는 없을  같은데박사님들 속시원히 풀어주세요.

 

A. 64 59G 엄연히 다릅니다. 59 OVR(Over Voltage Relay = 과전압 계전기)이며 64 OVGR(Ground Over Voltage Relay = 지락 과전압 계전기)이라서 엄연하게 구별되어 있습니다. OVR 교류전압이 규정치 이상에서 동작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정격전압110V  120~150V 정도 전압 상승  동작하는 계전기입니다. OVGR 지락계전기에 기준치 이하의 전압이 검출 시에 동작하는 계전기로서 과전압 계전기보다 낮은 전압 검출용이겠죠기준치 전압 110V보다 30% 정도 낮은 전압 검출용이다.

 

 

 

 

Q. 현재 50마력 모터 4대를 두고 있는데 최근에 한전 요금방식이 바뀌면서 진상역율에 대한 부분도 금액을 부과하여 이번에 20만원가량의 과징금이 나오게 됐습니다모터 2대는 직렬리액터 기동이고 나머지 2대는 인버터 기동인데 콘덴서 제어를 부하가 가동할 때만 가동시키기 위해 전동기 마그네트 2 측에 콘덴서를 연결하고자 하는데 만약 이렇게 했을  아무 문제 없나요?

 

A. Condenser 용량 선정을 잘하여야 합니다너무  Condenser 설치  경우 유도전동기의 자기 여자 현상에 의하여 Trouble발생할  있습니다전동기 무부하전류(자화전류) 80% 이하 값으로 선정을 하여야 합니다.

 

 

 

 

Q. 얼마 전에 우리 회사에서 전기판넬  하나가 차단기 트립이 있었습니다원인을 찾던  누전경보기(ELD) 누전감지를 해서차단기가 트립이 되었나 싶어 질문 드립니다누전경보기가 장착된 판넬에는 ELD 쓰는 판넬도 있고 ELR 쓰는 판넬도 있었는데요.

제가 아는 얕은 지식으로는 ELD 누전감지가 되었을  알람만 울리고 ELR 누전감지가 되었을  차단기 트립을 시키는 것으로알고 있었습니다제가 아는게 맞나요?

 

A. ELD 디텍터입니다순수하게 누전을 감시하는 기계입니다경보장치로 누전을 알려주는 단순 역할입니다 기기로 인하여차단기가 Trip 되는 일은 없습니다.

ELR 릴레이입니다. ELD 기능에 Relay 첨부하였다고 보시면 됩니다누전  내부 점접을 이용합니다자체적으로 경보나 표시램프가 설치되어 있으며 누전시 누전 신호를 외부로 송출할 수도 있으며 외부기기의 트립코일을 작동시킬 수도 있습니다.                 기기로 인하여 설치 구분에 따라서는 차단기를 Trip 시킵니다.

누전이 되었음에도 경보가 동작되지 않았고 LED에도 확인  되었다면 차단기 Trip 원인이 다른데 있다고   있습니다. LED확인하는데 경보가 동작되지 않았다면 경보장치의 On-Off스위치를 확인하시고 내부 증폭기의 소손일 수도 있습니다.

 

 

 

 

Q. 커피숍인데 백열등 6 연결되어 조광기와 일반스위치가 연결되어서 전원을 제어합니다조광기가 고장이 나서 그냥 스위치로온·오프만 하려고 합니다이때 조광기에 2선을 연결하면 되는  아닌가요아니면 스위치선 하나를 빼서 조광기선과 조인하고 나머지 (조광기선) 스위치와 연결해야 하나요연결(조광기 한선과 스위치선하다가 스파크가 튀어서 차단기가 내려 갔습니다어떻게 하면 되나요상식적으로 조광기  선을 연결하면 되는거 아닌가요이게  되면 어디가 고장입니까 어디가 끊기나요고수님 부탁  드립니다.

 

A. 전등 6개가  회로로 조광기랑 일반스위치를 같이 쓰셨다는  같은데 조광기로도 오프할  있는데 따로 스위치는  쓰셨는지 모르겠네요요즘 제품에는 조광기 레버 외에 스위치가 붙어 나오는 제품이 많은데 아무튼 조광기나 일반스위치나  가닥을 연결해도 쇼트는 나지 않습니다다만 부하가 많을 경우 약간의 스파크는 날수도 있지만요. +, - 연결되는 거랑은 전혀 다르지요일단 조광기랑 일반스위치  개를 고정에서 빼보시면  가닥이 나오는  일반적입니다예로 적색백색이라 하면 적색이 조광기한선백색이 스위치로 가고 조광기랑 스위치에 남은  곳을 연결해 주죠. (이걸 황색이라 하면스위치에 황색선을 빼시고 조광기에 있던 적색선을 연결해 주면 됩니다.

 

 

 

 

Q. 1 10개월 전에 간이 수전설비로 200KVA 수전을 받았습니다. (옥외)수전을 받구 쥐가 들어가서 한류형 퓨즈가   나간 적이있습니다마지막으로 한류형 퓨즈를  것이 작년 7 정도   같습니다근데  쓰던 공장에서 연락이 왔더군요한류형 퓨즈가 나갔다구요 때문에 그런  아니구요하지만 안전관리자가 퓨즈를 갈았는데도 변압기에 전압이  뜬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MOF 소손을 각했습니다당시 MOF  거치구 변압기에 바로 연결을 해서 변압기에 전압이 나온다고 하더라구요.

거기까지는 좋았는데 다음날  퓨즈가   나갔더라구 하더군요근데 이번에는 변압기 전압까지  나오더라구요공장을 가동시키기 위해서 발전기를 수배해서 2 부하를 살려주기는 했지만 이해가  가더라구요공장에는 공조설비와 냉동고가  있습니다저희 수배전반에는 ACB 없구요다른 분들은 지락일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데  상식으로 이해가  돼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고수님들 중에 경험이 있으시거나 조언을 듣고자 합니다부탁드리겠습니다.

 

A. 저도 비슷한 경험을 해보았는데 일단 변압기가 이상이 있는  같습니다변압기 1차와 2차를 완전히 설비에서 분리한  변압기1차에 220V R-S, S-T, R-T 가압을 하면 2차에는 권수비만큼 전압이 감압(3.67V) 되어 나올 겁니다.

만약 3.67V정도 안나오는 상이 있다면 변압기 층간단락으로 내부소손이라 생각 됩니다주의하실 점은 2차에 220V 가압하고서1차에 전압확인을 하면 안됩니다. 220V 60배인 13,200V 나타나므로  감전사고가 일어납니다반드시 1차에 220V 가압하여2차에 전압확인을 하여야 합니다.

 다음으로는 MOF 생각해 보아야겠죠변압기 1, 2차가 정상으로 나타나면 MOF 배꼽을 풀고 윗단인 파워퓨즈도 개방하고서MOF 측정하여 절연저항이 1상이라도 0 메거오옴이 나온다면 MOF소손이 맞습니다도움이 될런지  모르겠지만 아무쪼록  해결하시기 바랍니다.

 

 

 

 

Q. 안녕하세요저는 전기시설관리에 몸담고 있는 초짜 전기인입니다어제 새벽에 낙뢰로 저압반 ACB 4개가 트립되었습니다바로 재투입 되었고 별다른 피해는 없었습니다.

그런데 궁굼한건 고압반 컨트롤 판넬에서 경보음이 울리면서 저전압 알람램프가 점등되어 있었습니다낙뢰가 저전압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는지 단순히 오동작이 발생한건지 알고 싶습니다참고로 저희는 22.9kV 수전받아 주변압기(22.9/6.6), 저압반 변압기(6.6/ 380/220) 저압반 변압기는 1  VCB, 2  ACB 채용하고 있습니다.

 

A. 낙뢰  순간 ACB들의 UVT 작동되지 않았나 싶습니다낙뢰 시에 지락으로 인한 한전차단기가 차단되었다가 재투입이 되었을 것입니다. ACB 재투입 시에는 필히 Panel 어떤 경보가 들어왔는지 확인을 하여야 합니다.

 

 

 

 

Q. 22,900V/380V 1700KVA-변압기를 1700KVA-Y 변압기로 교체하고자 합니다.

전기안전공사에 사용  검사를 받아야 하는지 공사계획서와 감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고수님들의 자문을 구합니다.

 

A. 변경공사  사용  검사 범위는 특고압전선로차단기변압기입니다.

변압기를  교체하는지는 모르겠지만 같은 용량이라면 동일용량 변압기 교체공사로 안전공사에 공사계획신고를 하시고 사용 검사를 받으시면 됩니다수전설비 공사비가 5,000만원 이하면 안전관리자 자체감리로 가능하고  이상이면 감리원배치확인서가필요합니다자체감리일 경우 하도급계약서 첨부하고요참고로 2 측이 비접지에서 직접접지로 바뀜에 따라 당연히 보호방식도바뀌겠죠.

 

 

 

 

Q. 전기실에서 근무하는데 업무상 ASS, ALTS 대해서 알아야  일이 생겨서요. ALTS 용어를 찾아보니까 나오는데 ASS 제대로 설명이 안나와서 고민입니다. ASS, ALTS 용어정의와 용도차이점에 대해서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A. ASS(Automatic Section Switch) 자동고장구분 개폐기라고 하며수전용량 1,000KVA 이하 특별고압 간이 수변전설비 입입개폐기로 사용되는 개폐기입니다.

이는 수용가 고장  한전 배전계통에 설치되어 이는 리클로저(R/C: Recloser) 자동구간 개폐기(S/E: Sectionalizer) 조합하여 고장구간을 신속히 차단하여 배전계통의 연계된 수용가들의 피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참고사항) ASS 조작스위치에 배터리에 의해 조작됩니다한국전기안전공사에서 정기점검  이를 교체하지 않고 방치해두면ASS 작동되지 않아 낭패를 당할  있으니평소에 밧데리를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ALTS(Automatic Load Transfer Switch) 자동부하 전환 개폐기라고 하며정전 시에  피해가 예상되는 수용가에 이중 전원을 확보하여 주전원의 정전 시나 기준전압 이하로 전압이 저하  2 전원(비상발전기예저전원)으로 자동전환되는 무정전 전원공급을 수행하는 개폐기입니다 개폐기는 고장전류 등을 차단할  있는 능력이 없고단지 전환 스위치로 3회로 2 스위치 개폐기입니다.

:
Posted by 매실총각

                                     


 

 

빌라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7세대가 살고 있음) 오래된 빌라라 접지가 안 되어 있어요. 컴퓨터 전원 꼽는 콘센트만 수도관에 접지선 연결하려고 하는데요 이게 위험하지 않는가요? (서울 도심이다 보니 밖에 땅에는 묻을 수가 없음) 분명히 이 수도관이 우리 집 뿐 아니라 같이 거주하는 세대들 수도관 연결이 됐을 거 같은데, 만져봐야 미세전류만 흘러서 괜찮겠지만 혹시 모를 상황도 있을 거 같고, 그럼 수도관에 접지를해도 누가 해를 입을 일이 전혀 없는 거 맞죠?

오래된 건물은 접지가 시설되지 않은 곳이 많은데, 아쉬운 대로 수도관을 접지로 활용하는 것이며 적법한 것입니다.

다음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내용을 그대로 옮겨봅니다.

제21조 (수도관 등의 접지극)

� 지중에 매설되어 있고 대지와의 전기저항 값이 3Ω 이하의 값을 유지하고 있는 금속제 수도관로는 이를 제1종 접지공사・제2종 접지공사・제3종 접지공사・특별 제3종 접지공사 기타의 접지공사의 접지극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금속제 수도관로를 접지공사의 접지극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에 따라야 한다.접지선과 금속제 수도관로의 접속은 안지름 75mm 이상인 금속제 수도관의 부분 또는 이로부터 분기한 안지름 75mm 미만인 금속제 수도관의 분기점으로부터 5m 이내의 부분에서 할 것. 다만, 금속제 수도관로와 대지 사이의 전기저항 값이 2Ω 이하인 경우에는 분기점으로부터의 거리는 5m를 넘을 수 있다. 접지선과 금속제 수도관로의 접속부를 수도계량기로부터 수도 수용가측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도계량기를 사이에 두고 양측 수도관로를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연결할 것.접지선과 금속제 수도관로의 접속부를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손상을 방지하도록 방호장치를 설치할 것.접지선과 금속제 수도관로의 접속에 사용하는 금속제는 접속부에 전기적 부식이 생기지 아니하는 것일 것.

� 대지와의 사이에 전기저항 값이 2Ω 이하인 값을 유지하는 건물의 철골 기타의 금속제는 이를 비접지식 고압 전로에 시설하는 기계기구의 철대(鐵臺) 또는 금속제 외함에 실시하는 제1종 접지공사나 비접지식 고압전로와 저압 전로를 결합하는 변압기의 저압 전로에 시설하는 제2종 접지공사의 접지극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제1항 또는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금속제 수도관로 또는 철골 기타의 금속체를 접지극으로 사용한 제1종 접지공사 또는 제2종 접지공사는 제19조제3항의 규정에 의하지 아니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접지선은 제19조제1항(제4호 및 제5호를 제외한다)의 규정에 준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상기 내용을 근거로 가정에서 수도관을 접지극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기능회로측정기(멀티테스터)를 준비하고, 수도꼭지에 전선 한 가닥을 연결하여 인출한 것과 세대분전반 메인차단기 선로와의 전압을 측정하여 OV 가까운 값이면(OV 가까이 측정되지 않으면 접지로 사용 불가) 접지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좀 더 확실히 하려면 절연저항계(일명 메거)를 준비하여 수도꼭지에서 인출한 선과 세대분전반 선로와 측정 시 0V 가까이 측정된 선로와의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그 값을 확인하면 됩니다(상기 내용 참조) 이 때 중요한 것은, 세대분전반의 접지측 전선과 절연저항을 측정하기 전에 반드시 세대분전반 차단기를 내리고 1차 접지측 선로와 측정하시기 바랍니다.

 

 

2층 사무실인데(전체층 9층) 분전함을 열어보니 3상4선식 메인MCCB가 100A입니다. 몇kW가 들어 왔는지 알 수 있나요? 약 100평 규모에 컴퓨터 110대를 사용하게끔 각 컴퓨터마다 콘센트 작업을 하여야 하는데요. 컴퓨터 1대당 300W(프린터포함) 잡고 110대면 33,000W 전류를 계산하면 150암페어 전력증설을 해야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먼저 정확한 단위 사용에 좀 더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http://cafe.naver.com/power119/134830를 참조 하세요)

질문 내용에서, 정상적인 설계가 되었다는 전제하여 일반적인 의견을 드립니다. 2층 분전함의 메인차단기 정격전류가 100AT라면, 3상 4선식 380/220V 기준으로 P = √3×.38×100 ⇒ 약 65kW의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용량입니다. 통상 최대사용전류를 차단기 정격전류의 약 80%를 초과하지 않도록 권장하므로 P = 65×80% ⇒ 52kW 입니다.

말씀대로 컴퓨터 대상 소요전력이 300W이라면 총 대수 110대 ⇒ .3×100 = 33kW(단상 합산 용량임), 3상으로 부하 분담 시 각 상 11kW로 메인차단기의 용량에는 여유가 있지만, 다음 변수에 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 2층 사무실 메인차단기 100AT가 공급하는 전체 부하 또는 100AT가 담당하는 사무실 총면적으로 환산한 부하(현재 부하가 없는 경우)

▲ 각 사무실의 냉난방 전력공급 담당 여부

▲ 즉 차단기 100AT가 담당하는 부하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상기 컴퓨터 사용(PC방 추정) 외 타 사무실의 입주자가 추가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기본전력은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계시는 곳 주변의 전기공사업을 하는 분에게 문의를 드리면 증설 여부를 쉽게 알 수 있겠습니다.

 

 

송변전 개통에서 공칭이 등장하는데 정격과 공칭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공칭의 목적이 무엇인가요?

定格 [정격] 발전기(發電機)ㆍ전동기(電動機)ㆍ변압기의 전동기(電動機) 기기(器機)에 대(對)하여 제조자(製造者)가 규정(規定)한 사용(使用) 한도(限度).

公稱[공칭] 공적(公的)인 명칭(名稱),

위 한자에서 보듯이 정격은 기기들의 사용 한도 등을 규정 한 것이고 공칭은 전선로 등의 전압 등을 공식적으로 부르는 호칭입니다.

 

 

해바라기 타이머를 달고 싶은데 타이머에 전원은 차단기에 접속하면 되고 나머지 공통 AB 접점은 마그네틱 어디에 접속해야 하나요? 공통 하나랑 A 접점을 마그네틱 위쪽 전원부에 물리나요? 이러면 셀렉터 스위치 자동으로 했을 때 타이머가 작동할까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고 또한 셀렉터 스위치를 어떻게 설치하는냐에 따라서 질문자가 선택하면 됩니다. 일단 해바라기 타이머 사용하는 이유가 타이머 출력 용량이 부족 하거나 아니면 배기휀의 전원이 3상일때 MC를 사용하죠. 그렇다면 MC의 A1, A2, (보편적으로 상단 두 개 접점)에 코일 전원을 인가하면 됩니다. (보편적으로 220V죠) 그렇다면 해바라기 타이머의 경우 2가지 종료가 있습니다.(물론 꼭은 아닙니다)

하나는 입력 2 단자, 출력 2단자, 두 번째는 입력 2단자, 출력 3단자(공통, A, B) 그럼 여기에서 공통은 MC의 A1으로 가면 됩니다. 그리고 A든 B든 A2로 가면 됩니다. (그 이유는 A든 B든 어차피 해라바기 꽃의 시간을 정정하면 됩니다. (즉 핀으로 넣고 빼는 것을 반대로 하면 A나 B가 반대로 되기 때문입니다) 마지막 셀렉타의 위치가 중요합니다. 수동일 때 커지고 자동으로 해바라기 타이머를 쓴다면 해바라기 출력측으로 가는 A1, A2 두 선 중 한 선을 선택하여 셀렉타 A접점(양단)으로 하면 됩니다.

 

 

일요일 새벽에 ACB 정전이 되었습니다. 갑 측에서 왜 발전기가 안 돌았느냐고 하기에 부하측 정전이라 발전기가 안 돌았다고 하고 ATS 수동 사용법을 찾아서 메뉴얼을 만들었는데. 제대로 된 것인지 궁금해서 문의드립니다. 우선 Hitu 100이라는 ATS 컨트롤러 쓰는 중인데 인터넷에 찾아보니 매뉴얼이 있긴 하던데 자동이야 큰 문제 없는데 수동 시 인터넷에서는 한전측전원이 차단 되었을 때만 절체 된다고 본 거 같은데 수동 시에 만약 수동 절체 시험을 하려면 무조건 한전측 전원이 차단되어야 하는지 궁금하네요.

그리고 자동 시 발전기 절체조건이 메인 Vcb Uvr 접점에 의해서 동작 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만약 부하측 VCB나 ACB 차단될 경우 발전기를 돌리려면 수동으로 하는 게 맞는 건가요? 그리고 컨트롤러 보면 퓨즈라고 쓰인 것이 두 개 있고 그 위에 파워 스위치라고 있는데. 이건 항상 켜져 있어야 한다고 하는데 이퓨즈라고 하는 것과 파워스위치 기능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자동이야 큰 문제 없는데 수동 시 인터넷에서는 한전측 전원이 차단 되었을 때만 절체된다고 본 거 같은데 수동시에 만약 수동 절체 시험을 할려면 무조건 한전측 전원이 차단되어야 하는지 궁금하네요. 잘못 아신 것입니다. 수동/자동 선택 스위치(1번)를 수동으로 놓고 발전기 전원만 정상적으로 공급되면 한전측 전원과 무관하게 PB (8번, 9번)스위치에 의해 절체가 가능 합니다. 이때는 Timer 와도 아무 관계가 없습니다.

그리고 자동 시 발전기 절체조건이 메인 Vcb Uvr 접점에 의해서 동작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그것이 발전기 운전조건인데 Main 차단기 UVR이 아니고 대부분 ATS의 1차 Feeder 한전측 전원(ACB 등)에서 검출 발전기가 운전됩니다. 만약 Main VCB라면 실제 정전이 되지않고 ATS의 Feeder용 차단기가 Trip이 되면 ATS는 동작을 하지 못합니다. 만약 부하측 VCB나 ACB 차단될경우 발전기를 돌리려면 수동으로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발전기 Start 신호가 어디서 오는지 도면을 보시고 확인해 보세요(무진장 중요합니다.) 그리고 컨트롤러 보면 퓨즈라고 써진 게 두 개 있고 그 위에 파워스위치라고 있는데. 이건 항상 켜져 있어야 한다고 하는데 이퓨즈라고 써진 것과 파워스위치 기능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Fuse는 기기가 정상 작동이 되려면 전원이 항상 공급 되고 있어야 하므로 감시용입니다. 파워스위치는 한전이나 발전기의 전원을 검출하여 ATS 조작을 하기 위한 것입니다.

 

 

고압 모터를 사용하는데 정확한 교체 주기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아래는 사양입니다. 모터사양: 230kW, 4P, F 종사용용도: 하수처리장 송풍기 모터로 Air를 불어넣어주는 역할기동방식: 리액터 기동, VCS & VC 사용함.설치년도: 7년 사용함.교체이력: 자체적으로 3년 전에 베어링 교체함.기타

고압 모터는 10년 이후 부터 절연 파괴, 운전 시 온도 증가, 소음 증가로 인해서 소손이 많이 발생한다고 일본 자료에 보면 나와 있습니다. 그러나 고압 모터에 대해서 베어링 교체 주기, 모터 Overhaul 주기 등에 대한 명확한 내용이 없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10년 전에 모터 Overhauld을 진행하려고 보고서 작성 시 정확한 주기가 있다면 무엇인가요?

특별히 Motor 교체주기는 정하여진 것이 없습니다. 그것은 사용용도와 사용방법 주위환경 등 조건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부분 고압 Motor는 대형이고 Bearing Type이 Grease Type이거나 윤활유 Type일 것입니다. Motor가 230kW 정도라면 기본적으로 Grease 주입 Type이고 Grease는 년 150g 정도 주입이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Bearing Size에 따라 다름) 해서 기본적으로 Grease 주입 Motor의 Bearing 교체는 5년에 1회(1일 24시간 운전 시)정도 합니다.

윤활 Type의 Motor는 컨디션 상태에 따라 진행하고.하지만 위에서 이야기 한데로 관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관리라 함은 Grease 주입 등 윤활유보충, 진동점검 등을 잘하였다면 오래갈 것입니다.

 

 

건물은 오피스텔이고 발전기 용량은 600kW(대우발전기) 입니다. 입사 후 처음으로 시운전을 해본 결과 전압: 380V 주파수: 63Hz Rpm 1,600 모두 정상인 것 같은데 발전기 판넬에 Under Voltage 램프 불이 들어옵니다. 왜 이런 증상이 일어나는 걸까요?

발동 발전기라는 표현이 맞을 겁니다. 발동기 부분에서는 정상적으로 가동을 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회전수에 의한 전압은 비례하니까요. 발전기측에서 계자전원 공급하는 루트에 문제가 있습니다. 설치 장소에 의한 문제도 있겠지만 우선 발전기측에서 확인하셔야 합니다. 발전측의 기기 후면부 뚜껑을 열어보시면 회전측 부분에 계자권선 전력 공급용 다이오드를 살펴 보셔야 합니다. 다이오드의 특성 불량에서 오는 경우가 거의 맞을 겁니다.

테스터기를 활용 가능 하시면 측정이 가능한데요 전문 지식이 없으시면 오판을 초래하니 좀 더 내공이 깊으신 분께 의뢰하심이 좋을듯 합니다. Under Voltage 램프의 센서는 판넬의 제어PCB에서 인출된 것으로 제어PCB에서 부품 결함으로 점등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경보 복구(리셋트) 버튼으로 해결 가능하지만 실제로 부하투입 후의 전원 전압이 어느 정도 변화에 민감한지는 표현하지 않으셨더군요. 좀 더 관심 있게 표현하여 주시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면 판넬에서의 Under Voltage 램프 점등되었는데 부하를 투입 전 인지 부하 시 인지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나거든요.

발동기만 기동시켜서 판넬에 떠있는 계기의 전압과 주파수와 Rpm은 중요하지 않으며 참고에 불과합니다. 구체적인 증상은 부하를 투입하고 실제의 전력량에 따라 전압과 전류와 비례하는지, 발동기의 Rpm은 정상인지 정확히 측정하여 보시면 좋겠습니다.

 

 

케이블이 60m 정도 됩니다. 선간 라인체크 시 Test기 도통에 노코 볼트 같은 곳에 하나 찍고 케이블 하나씩 찍어봐야 하는가요? 그럼 반대 쪽에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제 말이 이해가 안 가시면 선간라인체크 하는 법 좀 자세히 가르쳐 주세요. 센서 케이블입니다

센서 케이블이 혹시 정온선형 감지선인지 먼저 전선의 선간측정은 기본적으로 Line의 단선 & 단락(숏트)유무를 점검 하는 것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선간의 저항을 측정합니다.

측정방법은 단선유무: 측정하고자 하는 두 선의 말단에서 단락을 시키고 저항을 측정합니다. 이때 전선의 저항이 적게 나오면 정상이고 나오지 않으면 중간 어느 부분에서 단선이 된 것입니다.단락유무: 측정하고자 하는 두 선의 말단을 분리하고 부하가 있으면 부하차단하고 저항을 측정합니다. 이때 저항값은 나오지 않아야 정상입니다.

만약 저항값이 나오면 나오는 정도에 따라 선간에 절연상태가 나쁜 정도를 알 수 있습니다.

:
Posted by 매실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