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2015. 7. 1. 09:23

resin chip conthol panel (배전반) 기업소식2015. 7. 1. 09:23

제품코드G058987[G058987] resin chip conthol panel (배전반)
판매 회사명화성전열전기
연락처053-604-2391
홈페이지-
제품홍보관-
resin chip conthol panel (배전반)

:
Posted by 매실총각
2015. 7. 1. 09:21

히터 기업소식2015. 7. 1. 09:21

제품코드G058985[G058985] 히터
판매 회사명화성전열전기
연락처053-604-2391
홈페이지-
제품홍보관-
히터

:
Posted by 매실총각
2015. 5. 1. 19:01

배선닥트 신제품신기술2015. 5. 1. 19:01

제품코드G056040[G056040] 배선닥트
판매 회사명배선닥트
연락처031-352-6457
홈페이지-
제품홍보관http://blog.yeogie.com/ducts
배선닥트

배선닥트,전선닥트,닥트커버,분전반,배전반,수배전반,정량스토퍼,노이즈세파레타 ... 

전기분전반 및 전기 기기 관련장치 내부의 (분전반내) 전기선관리용 커버 및 닥트를

각종특허를 취득하여 전문 제작하고있습니다.

앞으로도 저희 배선닥트의 전직원은 지속적인 노력과 계발에 전력을 다할것입니다.

 

 

대표전화:031-352-6457   대표팩스:031-354-2607

홈페이지:  http://www.배선닥트.com

    이메일:ducta@wiringducts.co.kr

?본사 밎 제1공장:경기도 화성시 양감면 장승배기길 20-8(구:양감면 요당리 330)

          제2공장:          경기도 평택시 청북면 고렴리 172

            연구소: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어천리 341-1

'신제품신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영 리미트 스위치  (0) 2015.05.07
LED조명등  (0) 2015.05.01
용접보안경  (0) 2015.05.01
온도를 감시하는 서모·스태트  (0) 2015.04.27
자기조리기의 비밀  (0) 2015.04.27
:
Posted by 매실총각
2013. 7. 31. 10:21

8월 전력 용어 전력용어/영어2013. 7. 31. 10:21

이달의 전력 용어와 영어

 

 

8월 전력 용어

 

 

■ 발전기 특성자료(發電機 特性資料, Generator Parameter Set)

발전기에 대하여 특징지을 수 있는 각종 자료를 말한다. 이러한 자료들에는 발전기의 유형(유도기, 동기기 등) 극수, 회전수, 발전기 단자전압, 절연의 종류, 여자기 형식, 조속기, 원동기 등에 관한 자료를 전력계통의 운영 및 분석을 목적으로 정적 및 동적 모델링을 하기 위한 데이터, 도표, 챠트 등의 기술적인 자료들이다. 전력거래를 위한 발전기 특성자료에는 해당 발전기의 유효전력, 무효전력, 최대가능출력, 최소가능출력, 정격출력증가율, 정격출력감소율, 비상 시 출력증가율, 비상 시 출력감소율, 각종 시정수, 관성정수, 단락비, 전기회로 정수인 저항과 리액턴스, 가능출력곡선, 등이 있으며 발전기의 부속설비인 관련 변압기(보조용, 기동용, 여자용), 조속기, 여자기, 계통안정화장치, 발전기 설정 운전값 등에 대한 특성자료들도 포함하고 있다.

 

■ 발전단전력(發電端電力, Gross Output)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의 총량을 말하며, 송전단전력에 대응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 중 일부는 전기생산을 위하여 발전소에서 자체적으로 소비(이를 所內 消費電力이라고 한다)하게 된다. 발전단전력에서 소내 소비전력을 제외한 전력은 송전선로를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송전선로로 유입된 전력을 송전단전력이라고 한다.【발전단전력=소내 소비전력+송전단전력】

 

■ 발전설비 용량(Installed Generating Capacity)

발전설비 용량(Installed Generating Capacity) 전기를 생산하는 설비로써 발전시설, 발전설비용량, 설비용량, 시설용량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발전소 또는 발전기의 출력을 의미하며 넓게는 전력계통 전체 발전기 출력의 합을 나타내는 말로써 용량단위는 kW, MW, GW 등으로 표시한다.

 

■ 발전원가(發電原價, Generating Cost)

전력생산(발전)에 소요된 총비용을 생산된 발전량으로 계산한 단위 킬로와트(kWh)당 발전 비용을 말한다. 여기에는 감가상각, 금리 등의 자본비, 인건비, 수리비 등의 직접비, 연료비 및 기타비용이 포함된다.

 

■ 방전전류(Discharge Current)

피뢰기의 방전전류란 피뢰기가 방전 중 이것에 흐르는 충격전류를 말하며 공칭방전전류란 피뢰기의 보호성능 및 자동복귀성능을 표현하기 위하여 쓰이는 방전전류의 규정치로 소정의 파고치와 파형을 갖는 뇌충격전류를 표시한다.

 

■ 방출안전장치(Automatic Resetting Pressure Relief Device)

절연유와 접하지 않는 변압기의 상부 판 또는 상부관에 부착되어 변압기 내에 이상압력이 발생 시 일정 압력[10±1psi(0.7±0.07kg/cm2)]에 도달하면 방압막(Diaphragm)이 동작하여 이상압력을 외부로 방출시켜 변압기함의 파손을 방지한다. 방출안전장치는 방압관과는 달리 여러 번 동작하여도 다이아프람이 파손되지 않도록 강판으로 제작되며 평상시 다이아프람을 눌러 주는 압축 스프링과 기밀유지를 위한 가스켓, 동작표시봉, 경보용 접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배열회수 보일러(排熱回收 보일러,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가스터빈의 배기가스 열을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장치로 일종의 보일러이다. 배열회수보일러 또는 폐열보일러라고도 한다. 발생한 증기는 증기터빈을 구동하여 전력을 생산하거나 지역난방에 이용된다.

 

■ 배전반(配電盤, Switchboard)

배전반(Switchboard)은 계기류, 계전기류, 개폐기류 및 각종 보안장치를 설치하여 전류를 개폐 또는 제어하는 대리석, 에보나이크, 철판제 등의 장치로서 배전반은 전력계통 또는 기기의 감시, 제어를 목적으로 조작, 계측, 표시 및 보호장치를 한 곳에 설치한 것으로 전기설비와 감시제어자 간의 중계적 역할을 담당하는 기기운전의 중추적인 요소이다. 배전반의 종류로는 수직벽지지형, 수직 자립형, 벤치형, 데스크형, 폐쇄형 및 그래픽형이 있으며 기술의 진보에 따라서 감시, 제어 및 보호방식이 고도화되고 있어서 다종다양의 배전반이 사용되고 있다.

 

<자료제공 : 전력통계정보시스템 www.kpx.or.kr/epsis>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8월 전력 용어

'전력용어/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전력 용어  (0) 2013.09.02
8월 전력 영어  (0) 2013.07.31
7월 전력 영어  (0) 2013.07.05
7월 전력 용어  (0) 2013.07.05
6월 전력 영어  (0) 2013.06.04
:
Posted by 매실총각

일신전기.jpg

 

 

Q. (주)일신전기에 대한 소개.
A. 1987년 창립 이래, 전기기기 판매와 시공으로 얻은 기술력과 노하우로 5년의 개발 끝에 단열과 차음, 옥·내외 함체 판넬로 신 개념의 배전반을 만들었다. 또한 전기, 전자의 폐쇄형 함체의 열순환 문제를 새로운 이론으로 정립, 녹색기술로 변화시켜 새로운 폐쇄형 함체 시대를 열었다.

 

Q. 함체가 필요한 이유는.
A. 수배전반 등을 보면 대부분 밖에 설치돼 있다. 한여름 뙤약볕, 한겨울의 냉기 등 주위의 환경 변화에 전력설비를 보호해야 한다. 즉, 함체가 제대로 기능을 발휘해야 안에 있는 전력설비들이 제 기능을 다하고 수명도 오래가는 것이다. 

 

Q. 전력신기술 제78호로 지정된 ‘배출면을 이용한 수배전반의 자연대류 열순환 기술’에 대한 설명과 이 기술을 개발한 이유가 무엇인가.
A. 이 기술은 수배전반 내부기기로부터 발생된 열을 자연적인 공기 상승기류를 이용해 배출면을 통해 외부로 내보내는 기술이다. 수배전반 상부 배출면의 각도를 조정해 열의 상승기류를 배가시키는 원리로 제작됐다. 기존의 수배전반은 빗물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해 경사가 있는 지붕이나 평면지붕으로 설치됐지만, 개발된 옥외용 수배전반은 기존 지붕과는 반대로 경사가 나있다. 이는 경사를 타고 내부 열이 빠져나갈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이와 함께 빗물이 고이는 것을 막기 위해 기존 경사 지붕을 덮어씌워 이중으로 지붕을 만들었고, 지붕 하부에는 양방향 혹은 사면의 공기배출구를 만들었다. 수배전반 천장의 하부에 있는 배출구를 이용해 공기배출을 극대화시켜 외부로 열을 배출시키는 것이다. 이 기술은 기존 수배전반이 내부 기기와 접합부의 열로 인해 온도가 상승해 기기의 성능과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했다.

 

Q. 앞으로의 목표는.
A. 누구나 당사가 개발한 기술을 바탕으로 더 훌륭한 기술을 접목해 세계적인 기술로 승화시켰으면 한다. 물론 본인도 그 대열에 서서 연구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그래서 국내 전력산업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일조할 수 있었으면 한다.

 

일신전기인물.jpg

(주)일신전기 이용학 대표이사

 

(주)일신전기 www.ilsinltd.co.kr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지구를 살리는 (주)일신전기의 열순환 기술력
:
Posted by 매실총각

배터리 AH 줄이면 가격 줄고 보수율 높아져

 



 

 

Q. Heater 전압원을 3 380V 쓰면 220V보다 문제가  가능성이 있나요?

 

A. 질문의 요지가 Y 결선 380V, 델타결선 220V 대한 질문 같군요용단이 안될 때에는 Heater 걸리는 전압은 평형 220V 같아아무 이상이 없으나 Y 결선에서는 Heater 1개가 용단이 되면 나머지  개의 Heater에는 190V 걸려 델타에서 1개가 용단   보다75%밖에 열량이 나오지 않습니다하여 비효율적이라   있습니다 .

 

 

 

Q. 1. 전압강하 보상 차원에서 직렬 콘덴서를 연결하는데 이에 따른 부작용으로 유도기 동기기 자기여자난조무부하 변압기 투입 분수조파 발생 등의 단점이 있다 하는데 어떤 원인 때문에 그러한가요?  직렬콘덴서에 의한 부하단 전압상승  충전전류 때문에그런 것인지요?

 

2. 변압기 여자 돌입전류의 경우 잔류자기에 기인한 전류확대  그로 인한 자로 포화를 겪어 여자전류가 더욱더 확대되는 현상으로이해를 하고 있는데요그렇다면 자화가 전혀되지 않았던 변압기(잔류자기 0)에서도 여자 돌입전류는 발생하는지요?

발생한다면 어떤 원인인 것일까요개인적인 사견으로 발생원인을 변압기 등가와 유도전동기 등가가 동일하므로 전동기 기동  돌입전류 현상과 동일하게 생각하여도 되는지요변압기 투입시 발전기 단락과 동일 현상으로 초기 과도현상에 따른 대전류(발전기--전기자반작용) (변압기 역기전력전류감소 이렇게 생각하여도 되는것일까요먼가 헤매는 느낌입니다답변 부탁드립니다.

 

 

A. 1. 직렬콘덴서는 장거리 선로에 안정도 향상  전압강하 경감차원에서 설치됩니다만약 선로의 유도성 리액턴스와 직렬콘덴서의 용량성 리액턴스와 직렬공진이 되어 선로에는 아주 작은 저항성분이 남고선로가 장거리이고무부하선로이면  충전전류만 흐를 것입니다따라서 발전기 자기 여자 현상은 발생될  같습니다난조무부하변압기 분수조파현상은 고민을 해봐야   같군요.

 

2. 변압기 여자돌입전류의 발생원인은 한마디로 철심의 포화 때문에 일어납니다.

 전압 0점에 투입  자속은 마이너스의 최대인데

   자속의 연속원리(물리적으로 전압전류자속은

   어느 순간 0에서 어떤 값으로 순간 이동할  없음)

    의해 0에서 출발하여 1/2 사이클  전압 0

   에서 최대치를 나타내게 됩니다.

   자속의 포화치를 상회하여 철심 포화

 인덕턴스-->0, 리액턴스 -->0

 역기전력 감소, e=L di/dt

 여자전류 증가(자속 포화구간에만 흐르게 )

 - 2고조파의 비율이 높은 편측방향의 비대칭성분이

   된다.

 

3. 유도전동기의 기동전류는

 철심이 없어 여자전류가 비교적 크다.

 또한기동 시에는 슬립이 0이므로 회전자에는 고정

   자권선이 발생하는 자속이 거의 대부분 쇄교되어

 정격전류에 도달하기 전까지 비교적  기동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4. 단락 전류는 전압에 뒤진 지상전류이므로  또한 단락  전압의 위상  X/R비에 따라 직류분이 생기게 됩니다변압기 여자돌입전류도 전압의 위상과도 관계되고단락  전류도 전압의 위상에 따라 관계되는 것이 전기공학의 L C 오묘한 점이라 하겠습니다. X/R 비가 매우  회로라면 전압에 대해 거의 90 뒤진 전류가 흐를 것이므로 위의 맥락과도 통할 것이라   있습니다

 

 

 

Q. 전기 입문한지 얼마 안되는 초보입니다. VCB, ACB, 발전기조작 전원은 DC 되어 있던데  ATS AC 되어 있나요?

 

 

A. VCB ACB 발전기 조작 전원을 DC 주로 사용하는 이유는 AC 정전되면  죽어버리므로 차단기를 동작할 방법이 없으므로정전  밧데리와 같은 백업 전원을 이용해 차단기를 동작하기 위해서 DC 사용합니다. ( 경우밧데리 충전반이 별도로 있고 별도의 밧데리가 있답니다.)

ATS 경우한전전기가 살았는지발전기 전기가 살았는지를 확인하는 회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한전전기가 공급될 때는 아시다시피 380V/220V니까 AC 되고발전기가 돌아서 나오는 전기도 AC 됩니다어느  전기가 살았는지 죽었는지만 확인하면 되는ATS 그래서 AC 전원이 조작회로로 구성되는 것입니다.

 

 

 

Q. 이번엔 처음으로 태양광발전에 입문하였습니다.

1.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전기 배선  접지를 해야 하는데직류교류 접지  인버터내 단독으로 접지를 하는지 아님 공통으로 접지하는지요인버터 기구 내에 접지하는 단자가 직류와 교류에 각각 있습니다어떻게 해야 할지요그리고 인버터 내에 단자대 접지를 생략하고 전로 퓨즈로 개선하던데 사양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요?

 

2. 태양전지에서 인버터까지의 직류전원을 접지를 생략한다고 하는데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3.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교류 접지  접지개소  3종과  3종을 따로 해야 하는 이유와 만일 굳이 3종을 생략하고  3종을  있는지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A. 1. 단독으로 접지하든공통으로 접지하든 결국은땅속에서 만나게 되지요일반적으론접지를 하는 단자의 전위는 접지 전위0v 되기 때문에 따로 하든 공통으로 하든  의미가 없습니다피뢰기처럼 대전류가 흐르는 경우 1 접지를 따로 잡기도 하는데,실제로는 같이 물린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컴퓨터 장비정보통신 장비의 경우의 접지는 공통으로 잡아 접지를 단독으로 많이 잡습니다.

인버터는 접지회로를 기능회로 실제 전류가 흐르는 회로의 일부로 사용하지 않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접지 측에는 퓨즈를 삽입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나접지전류가 많이 흐를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퓨즈를 삽입한다면, 1A 미만의 퓨즈를 삽입해도  것으로 생각됩니다.

 

2. 직류회로의 접지를 +극이든, -극이든 어느 단자든 잡을 수도 있고잡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실용상 접지를 잡느냐 잡지 않느냐는  의미는 없습니다단지접지를 잡게 되면 반대  극성에는 해당 전압이 그대로 걸리게 되어  극성에는 전위가 높아 이쪽 극성에 연결된 전자회로의 전압절연내력에 약간의 부담을   있겠습니다만일 접지를 잡지 않으면양쪽 극성에 같은 전위(전체 전압의 절반) 걸리기 때문에 전압절연내력에 부담을  주기 때문일 것입니다.

 

3.  3종까지  필요는 없다고 생각되며 3종을 하게 되면 당연히 레벨낮은 3종은  필요가 없겠지요.

 

 

 

Q. 주상 변압기에서 저접으로 4가닥의 선이 빠지죠보통  윗선을 중성선. - 아래 3가닥의 선을. + 선이라고들 하던데요우리나라는 교류방식인데 저게 정해져 있는 거죠?

 

A. 교류전압에서는 +, - 라는 표현은 사용하지 않습니다중성선을 가끔 - 선이라고 표현하는데 그것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그건 아마 한전 일단 접지변압기에 보면 변압기 설치  2 선로 연결  접속할  알아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 - 표시를 해놓기는하지만  +, -  직류의 +, -  표현은 아닙니다... 한전 변압기에 표시된 +, - 변압기 2, 3 연결시 연결할 (접속하기헛갈리지 않게 하기 위해 간단하게 표기해 놓은 것입니다.

 

 

 

Q. 예전에 면접   질문 받은 건데사실 차단기를 학교에서 실습  쓰기나 했지 막상 물어보니  모르겠더라구요배선용 차단기와 누전차단기의 차이점과 실무적으로 어떤 곳에 어떤 차단기를 사용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A. NFB ELB 약자에서 힌트가 있습니다.

NFB- 배선용 차단기는 일단 단락전류(쇼트 과전류에 Trip 조건을 가지고 있고 누전(지락전류)에는 Trip 하지 않습니다.

ELB- 누전 차단기는  그대로 지락전류가 감지되었을  Trip 합니다 ELB 차단기 내부에 영상변류기(ZCT)라구 있는데 피복이 손상된 부분이 땅이나정상적인 계통도가 아닌 누전을 감지하여 ELB  차단합니다.

차단기는 다기용량의 기준치 1.25?(맡는겨이상 과전류가 흐르면 Trip 하니깐 단락이 발생하면 ELB 누전이 아닌 과전류 검출로인하여 TRIP 됩니다.

 

 

 

Q. 380/220v 모터에는 3  380이겠죠모터 4 히터 1 환풍기 1이나 모터가  6개입니다.

각각 전력은 0.75kW, 0.15kW, 1.5kW, 120w, 90w, 120w입니다여기서 p = vi, = i = p/v입니다이렇게 계산을 하면 7.1a 나와요그러면 과전류차단기는 7.1a보다  단계 윗자리 쓰면 되는 건가요?

 

A. 모터부하와 히터 부하를 구분하여 모터 부하의 정격전류(Im) 50A 이하이면 1.25, 50A 넘으면 1.1배하고히터 정격전류(Ih) 더하여 전선의 허용전류 Ia 구합니다그리고 나서차단기 허용전류(Ib)<= 3Im+Ih <= 2.5Ia  계산하여  작은쪽 값을 차단기로 선정합니다직접 풀어 드리고 싶지만 계산해서 구해보세요. 3상에서의 전류 구하는 공식은 I = P / 루트 3×V×COS 세타 입니다.

 

 

 

Q. 우리 회사에 150kva ups 사용 중인데 5년이 되어서 배터리를 교체하고자 합니다. ups 에서 보면 34% 정도 부하를 사용한다고 나옵니다. (전산실  수술실임상병리실일반 사무실 컴퓨터 전원용현재 2v 500ah 쓰고 있으나 절감차원에서 2v 300ah 바꾸어도 괜찮은지 궁금합니다.

 

A. 배터리 AH값을 줄이면 가격을 줄이는 장점이 있지만보수율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500AH 배터리로 5년간 이상이 없었다고 해도 300AH  같은 수준을 유지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정전보상시간도 영향을 받습니다정전이 잦지 않고 발전기가 백업용으로 설치되어 있으면 교환하셔도   같고하지만 한번 정전되면 1시간 이상 지속될 수도 있다면 기존 용량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배터리용량은 실부하 34% 인버터변환 손실을 더해 산출해야 합니다.

 

 

 

Q. 전자접촉기와 전자개폐기를 정확한 용도를 알고 싶습니다현장 경험이 없으니 개념이  잡힙니다.

 

A. 둘다 스위치 기능이잖아라고 생각하면 같은 것인데요전자접촉기는 Magnetic Contactor, 전자개폐기는 Electronic Switch 이므로전자개폐기 종류중에 모터 브레이커전자접촉기릴레이, SSR, 등이 포함된다고 보시면 될것 같아요전자개폐기는 주로 자동트립기능이나 자동절체기능이 필요하면서 고압 대전력 선로에 사용되는 VCB(진공차단기같은 것들을 말하고전자접촉기는 원격제어또는 과전류보호와 같이 자동화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 주로 사용합니다전자접촉기를 전원의 입력차단기로 사용하면서 전자개폐기로 명칭 하기도 합니다.

 

 

 

Q. 배전반 전압이 360V까지 떨어져서 부스바을 재보니 다행히 계기가 노후되어 그렇더군요그런데 R-S: 375V 나옵니다다른상은 379~380V 나오고요상간 부하는 170A, 150A, 160A 나옵니다 정도로  차이가 나는게 정상인가요아니면 어떤 문제가 있을까요?

 

 

A. 상전압 차가 생기는 가장  원인은 부하가 불평형하게 걸리기 때문입니다부하가 완전히 평형이 되지않는한 전압이 같을수가 없습니다한전에서 공급을 받는 전원도 수많은 수용가에서 같은 전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약간의 전압 차는 당연히 발생합니다상전류가  정도 차이가 나도 정격전류보다 크지만 않다면 크게 문제는 생기지 않습니다.

:
Posted by 매실총각

활성상태 점검 시 COS 개방한 상태에서 정전작업 해야






1. 사고개요

가) 사고내용: 배전반 감전사고

나) 발생장소: 건물 내부

다) 행위형태: 기기점검

라) 전압용량: 22.9kV

마) 피해정도: 사망 



2. 사고내용

전기안전관리자는 주 변압기 전단의 컷아웃스위치(COS) 퓨즈가 단선된 것을 발견하다 관리자가 퓨즈교체 및 설비에 대한 육안점검을 실시한 후 컷아웃스위치(COS)를 투입하는 순간, 주 변압기에서 단락스파크가 발생함과 동시에 전단 컷아웃스위치 퓨즈가 용단되어 전기안전관리자가 전업사에 점검을 의뢰하였고, 전업사 소속 재해자가 변전실에 도착하자 전기안전관리자는 그때까지의 상황을 성명하고 고장구간 자동개폐기(ASS)가 고장 난 상태이므로 파워퓨즈 전단까지는 22.9kV 전압이 충전된 상태라는 사실을 주지시켰다. 220V 배전반부터 MOLD반의 점검을 한 후, 파워퓨즈가 설치된 배전반 내부상태를 점검하는 중 22.9kV 충전전로에 직접 접촉하여 감전 사망한 사고이다.



3. 사고 원인

1) 특별 고압인 22.9kV 충전전로에 근접하여 전기설비 상태를 점검하면서 접근한계거리인 30cm 이내로 접근

2) 전로의 인입점에 설치된 개폐기의 고장으로 후단의 전로가 활선인 상태에서 무리하게 전기설비를 점검



4. 사고 재발 방지 대책

1) 특별 고압인 22.9kV 충전전로에 근접하여 점검할 경우에는 활선 경보기 및 절연 안전도구(안전모, 절연장갑, 절연장화) 등을 착용한 상태로 작업하고 접근한계거리 이내로 접근 금지

2) 활성 상태에서 점검을 할 경우에는 반드시 전력공급회사에 연락하여 전단의 컷아웃스위치를 개방한 상태에서 정전작업 절차에 따라 수행해야 한다. 

:
Posted by 매실총각

Hansung Electrical Machinery and Appliances  

 

32년 전통의 기술과 노하우로 승부한다! 한성전기 

 


인천광역시 남구 간석동에 위치한 한성전기. 10여 년 전 이곳에서 자리잡은 한성전기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가동도체라는 전기안전 부품을 개발한 주인공이다. 1979년 설립 당시 일본제품에 의존하던 가동도체의 국산화에 나서면서 사업을 시작했다. 배전반, 발전기 등 대형 전기설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가동도체의 기술력을 보유한 한성전기를 소개한다.

 

 

 

 

가동도체의 첫 국산화 주역… 시장 확대 견인차 역할

 

한성전기는 배전반, 변압기, 전동기, 발전기 부품 전문 생산업체다. 

올해로 32년째를 맞는 한성전기는 1979년 3월에 설립됐다. 강산이 3번 변했지만 한성전기의 정체성은 변하지 않았다. 30년이 넘는 세월동안 당사는 오로지 전기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부품 개발과 생산에 매진해 왔다. 

한성전기 심재일 대표는 “요즘 경기가 좋지 않아 어려운 상황이지만 가동도체 시장이 지금처럼 확대될 수 있었던 것은 한성전기가 국내에선 처음으로 국산화에 성공했기 때문”이라며 기술력에 대한 자부심을 나타냈다.

실제로 당사가 설립된 1979년 이전까지만 해도 가동도체는 일본 제품 일색이었다. 당시 국내에서는 중전기 제조업체인 당사(당시 이천전기국)가 최초로 생산을 시작했었는데, 이는 일본인 기술자가 직접 한국공장에서 개발한 제품이었다. 

“가동도체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일본인과 함께 국산화 개발에 나섰다. 1979년 개발이 완료된 후 1981년부터 제일상사란 곳에 납품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장을 개척했다.”

말하자면 가동도체는 일본의 기술을 이전받아 개발한 국산제품인 셈이다. 이제는 범용기술이 되어 이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가 20여 곳 이상으로 늘어났다. 

가동도체란 높은 양의 전류가 설비에 들어올 때 전기충격 완화시켜 기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전기설비 부품이다. 

설비 용량에 따라 다양한 가동도체가 나오고 있는데, 보통 1000A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설비는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부품이다. 

한성전기가 생산하는 제품은 가동도체류와 함께 플렉시블 버스 바(Flexible Bus Bar), 동관단자(DIN 규격품), 자동 조심형 연결 컨텍터(DIN 규격품), 발전기 터미널 보드, 권선형 모터 SLIP Ring 카폰 홀더, TR용 TAP 체인저, 냉각팬, 절연관 등이다. 

심 대표는 “지난해 5억에서 6억 원 정도 매출을 올렸다”며, “건설 경기에 민감한 제품인데, 최근 몇 년 간 토목 건설은 많았으나 일반 건축 건설이 없어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미국발 금융위기로 인한 경기 침체 이전까지만 해도 월 1억 원 이상, 연 매출 10억 원에 달하는 실적을 보여주며 시장에서의 견고한 입지를 보여줬다.




가동도체 국내 최초 국산화 실현, “우리가 원조!”

 

전설(前說)한 바와 같이 가동도체는 1979년 한성전기가 직접 국산화에 성공하고 지금까지 생산·공급해 온 제품이다. 그러나 최근 누군가 이 제품의 특허권을 주장하며 국내 가동도체 생산 업체들에게 내용증명을 통지하는 헤프닝이 일어났다.

이에 심 대표는 “어이가 없다”며 “일본 기술을 국산화한 것이 특허가 된다는 것도 말이 안 되는데, 자신의 특허 기술을 이용했으니 연간 매출의 5%를 지불해야 한다는 내용증명까지 보내는 것은 비상식적이고 몰염치한 행동”이라고 일축했다. 현재 심 대표는 특허법률사무소를 대리인으로 내세워 법적 대응을 준비하고 있으며, 선임 변호사로부터 90% 이상 승산이 있다고 들었고, 무고죄로 역고소까지 준비한다고 전했다.

심 대표는 “변호사가 90% 승산을 애기한 데는 결정적인 증거 자료가 있어 가능했다”며 “내용증명을 보냈던 당사자의 서명 날인이 있는 거래 장부를 우리가 확보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는 특허기술과 출원 및 등록 이전에 시장에서 먼저 개발·유통되고 있었다는 말이다. 

“심 대표는 선출원의 권리주장을 내세울 수 있지만, 이 제품의 경우 기술 자체가 일본 등 해외의 기술이었던 것이기에 특정인이 특허를 출원하고 등록한다고 해서 그 권리주장이 가능하지 않다”며 “특허청이 이런 관련 사항을 검토하지 않고 선출원주의라는 원칙에만 매달려 권리를 주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처사”라고 덧붙였다.

30년이 넘는 세월동안 가동도체를 생산해온 당사는 이미 이 분야에서 터줏대감이다. 특허논쟁을 떠나 가동도체 국산화를 최초로 실현한 당사이기에 이번 분쟁이 원만하게 해결될 수 있기를 바라본다.


한성전기 www.hansungelc.com

 

 

 

:
Posted by 매실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