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2015. 1. 30. 10:04

교류의 암페어와 볼트 전기산업특집2015. 1. 30. 10:04

교류발전기에 의해 만들어지는 교류전압은 정현파(사인 웨이브)라고 하는 규칙적으로 변화하는 아름다운 파형으로 되어 있다. 정현파란 자연계에 존재하는 모든 파형 중 가장 순수한 파형이다. 음차(音叉)를 두드릴 때 생기는 음파도 정현파이며, 맑은 플롯의 음색도 정현파에 가까운 것이다.
반대로 어떤 복잡한 물결도 진동수와 진폭이 다른 정현파의 합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것을 푸리에 분석이라고 하는데, 전자음(電子音) 등은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것이다. 앞서 교류의 주파수란 1초간에 진동하는 회수라고 말한 바 있는데, 이 주파수는 아주 정확한 것이다.
교류의 주파수는 발전소의 발전기(교류발전기) 회전수에 비례하기 때문에 발전소에서는 항상 엄격하게 발전기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하지 않으면 안 된다. 전기에도 질이 있는데, 주파수가 일정하며 전압이 변동하지 않는 전기를 양질의 전기라고 한다.
그러나 교류는 전압과 전류의 크기가 끊임없이 변화한다. 따라서 그 크기를 표시하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지에 대한 여부도 문제이다. 예를 들어 전압이 100V라고 하면 전압 파형의 어느 지점을 말하는 것일까. 이런 것은 직류가 하는 일과 교류가 하는 일을 비교해서 정하고 있다. 즉 저항이 같은 히터에 직류와 교류의 전압을 걸고 열량이 같아지도록 전압을 조정한다. 그때의 직류전압의 값을 교류전압의 값으로 정한다. 이 값을 교류전압의 실효치(實效値)라고 한다.
전류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히터에 직류와 교류의 전류를 흘려서 교류전류의 실효치를 정한다. 이론상의 계산에 의하면, 교류 파형의 가장 큰 곳은 실효치의 약 1.41배(√2 배) 정도인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실효치가 100V라면 최대값은 141볼트가 된다.
또 교류파형의 높이를 평균한 평균값이라는 것도 있다. 평균값은 실효치보다 조금 낮아진다. 교류를 측정하는 데 쓰는 전압계나 전류계는 실효치가 표시되도록 만들어져 있다.

 

그림3.jpg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교류의 암페어와 볼트
:
Posted by 매실총각
2015. 1. 30. 10:03

직류와 교류는 어떻게 다른가? 전기산업특집2015. 1. 30. 10:03

건전지에 저항을 연결해서 회로를 만들면 이 회로를 흐르는 전류는 항상 크기가 일정하며 흐르는 방향도 변화하지 않는다. 이러한 전류나 전압을 직류라고 하는데, 문자기호로는 DC(Direct Current)로 나타낸다.
이에 비해 우리가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는 전류나 전압이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이러한 전류나 전압을 교류라고 하며 문자기호는 AC(Alternating Current)로 나타낸다.
같은 전기인데도 직류와 교류는 본질적으로 어떤 점이 다른가.
전류나 전압의 시간적인 변화를 보는 장치에는 브라운관 오실로 스코프라는 것이 있다. 즉 직류는 평탄한 직선이지만, 교류는 일정 시간마다 (+), (-)가 반복되는 등 주기적인 변화를 일으키며 삼각함수에서 배운 정현파(사인 웨이브)의 그래프가 되고 있다. 이 교류의 파형을 보면, 전류와 전압이 시시각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시각에 있어서의 값을 순시값(瞬時値)이라 하고, 파형(波形)의 최대값을 진폭, 파(波)가 1진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주기(周期)라고 한다. 1초간에 진동을 반복하는 회수를 주파수라고 하는데, 옛날에는 사이클(Cycle)이란 단위도 썼으나 지금은 헤르쯔(문자기호로 ㎐)로 통일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류 주파수는 60㎐. 그러나 외국에서는 50㎐를 사용하는 곳도 있다. 다시 한 번 교류파형을 살펴보면 1주기 사이에 플러스와 마이너스가 한 번씩 찾아오고 그 사이에 두 번 제로가 되고 있다. 따라서 60㎐의 교류로 전등을 켜면 1초 사이에 120회 점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때문에 형광등 밑에서 손을 빨리 흔들면 깜박거려 보이는 것이다. 레코드 플레이어의 스트로보·스코프는 이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즉 전등의 규칙적인 점멸을 이용해 레코드의 회전수를 체크하는 것이다.

 

그림2.jpg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직류와 교류는 어떻게 다른가?
:
Posted by 매실총각

KakaoTalk_61a0314e93492f63.jpg

태영전자 정태봉 대표
 

Q. 회사에 대한 소개.
A. 태영전자는 지난 30년 동안 축적해온 노하우로 최상의 품질과 최고의 기술이 적용된 소형변압기를 제작·공급하고 있다.

 

Q. 변압기라는 장치가 왜 필요하며 주로 어디에 적용되나.
A. 모든 전자기기에는 입력전원이 필요하다. 각종 산업장비, 자동화설비, 정밀산업, 컴퓨터 장비 등 전자기기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전원공급장치의 품질이 우선적으로 보장되어야 한다.
변압기는 각종 전자제품에 내장된 교류전원장치로서 컴퓨터, 모니터, 세탁기, 보일러, 의료기기 등의 전자기기 및 디지털멀티미디어에 이르기까지 가장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전력용 변압기는 전력은 변화하지 않는 상태에서 변압기로 교류 회로에 가해지는 전압을 그보다 높이거나 낮은 전압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쉽게 말해 보통 전원회로를 내장하여 기기를 사용할 수 있지만 기기의 부피, 디자인 관계상 외부 전원 공급 및 변환이 필요한 경우 쓰이는 장치이다.

 

Q. 태영전자의 차별화된 경쟁력은 무엇인가.
A. 당사는 소형변압기를 주력으로 하고 있다. 주로 세탁기용, 냉장고용, 의료기기용 보일러, 포장기기에 적용되며, 변동하는 기술 추이를 빠르게 분석하여 현장에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제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또한 국내시장에서 유일하게 소형변압기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높은 기술력이 바탕이 되어 고품질 제품을 생산해 사후에 전혀 고장이 없다. 이러한 철저한 기술력과 신속한 유통이 차별화된 경쟁력이라 할 수 있다.

 

Q. 회사의 향후 목표는.
A. 당사는 수준 높은 인재를 발굴해 글로벌 기술력을 확보하고 신개념 기술 들을 선보임으로써 글로벌 기업으로서 도약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또한 30년 전통의 노하우로 초일류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최고 품질의 소형변압기를 제작하는 기업의 선두 주자가 될 것이다.

ty-trans_co_kr_20130928_131915.jpg

 

태영전자 www.ty-trans.co.kr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장인정신으로 승부를 건 기업 ‘태영전자’
:
Posted by 매실총각

Special Report l HVDC / 기술현황

 



 

 

교류를 직류로 바꿔 고효율 전력 전송 가능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System)는 교류 발전기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교류 전력을 AC/DC 변환기를 이용,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배전 대상 지역으로 직류 전력을 전송하고, 다시 DC/AC 변환기를 이용하여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을 말한다.

직류 송·배전 방식이 이제 와서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은 전력용 반도체 기술의 발전 때문이다. 직류 변환장치인 사이리스터(Thyristor, 전력용 반도체소자)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고전압의 직류를 쉽게 얻을 수 있게 된 것.

만약 직류로 배전한다면, 각종 전자제품의 크기가 대폭 줄어들 것이고 각종 교류 장치에 필요한 변압기 역시 모두 제거될 수 있을 것이며, 다양한 속도를 낼 수 있는 모터 역시 직류 전기를 쓸 수 있게 된다.

교류 전압보다 낮은 전압의 직류 전압은 송전 손실이 적어 효율이 좋고 전압이나 주파수가 다른 두 교류 계통 사이를 안전하게 연결해주는 장점이 있다. 또 거리와 지역에 따른 제한이 없어 해저를 통한 전력 전송에도 유용하다.

 

 

HVDC 시스템, 전류형과 전압형 구분

 

HVDC 시스템은 사이리스터 밸브를 이용하는 ‘σσ 시스템’과 IGBT 소자를 이용하는 ‘전압형 HVDC 시스템’으로 크게 구분된다.

전류형 HVDC 시스템은 전력 시스템에서 전류 및 전압의 제어에 사용되는 전력반도체 소자인 사이리스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제주∼해남 간에 설치된 시스템이며, 최근 한전에서 추진하는 제주∼진도 간에도 적용될 예정이다.

이는 400MW의 용량이라면 10MW의 사이리스터 밸브를 40개 쌓아 전압을 맞추면 되는 구조인데, 손실률이 1%에 불과해 매우 경제적인 시스템이다. 다만, 이 시스템의 경우, 사이리스터 밸브를 정류하기 위해 발전기나 동기조상기와 같은 회전기 기기가 인버터 측 계통에 필요하며, 무효전력 보상을 위한 캐패시터 뱅크가 인버터 측이나 렉티파이어 측에 존재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이 시스템은 고조파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한 고조파 필터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전류형 HVDC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 IGBT 전력용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전압형 HVDC 시스템이다. 전류형 시스템과 비교했을 때 고속 스위칭에 의해 점차 고조파가 큰 폭으로 감소해 고조파 필터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적어질 수 있으며, 무효전력 공급이 필요하지 않음은 물론 유효전력과 무효전력 제어가 독립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특히 모듈화되고 규격화된 설계로 짧은 기간에 전력 전송이 가능하며, 전압과 전력의 제어가 용이하다는 점이 중요하다.

하지만 고속 스위칭을 해야 하기 때문에, 전압형 HVDC 시스템의 경우 손실률이 5∼10% 가까이 되기 때문에 대용량일 경우 경제성이 떨어지며, 수명도 전류형 HVDC에 비해 뒤떨어진다는 분석이다.

 

 

HVDC 시스템, 장단점 있어

 

우선 장점을 보면 직류 방식의 전압은 교류 전압의 약 70%에 불과하여, 기기의 절연이 용이하고, 현수애자의 수량 및 전선의 소요량을 그만큼 줄일 수 있거나, 철탑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어 우수한 경제성을 얻을 수 있다.

둘째, 직류는 교류처럼 교번하는 성분이 없으므로 리액턴스 성분에 의한 무효전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리액턴스에 제한받지 않고 전선의 허용 한도까지 송전이 가능하다. 교류 송전의 경우 열, 전압, 안정도 등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230kV는 400MW, 345kV는 1,100MW 등 큰 폭으로 용량이 작아지는데, 직류 송전의 경우 같은 전압에 대해 용량은 교류 실효치의 2배가 되며, 열과 전압의 안정도에 대한 제약 조건은 교류에 비해 거의 없고, 또한 전력 조류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동일한 피상전력을 직류와 교류 방식으로 공급한다면 직류 송전 방식이 교류 송전 방식에 비해 유효전력 성분이 많아지므로 보다 높은 송전 효율을 보인다.

셋째, 직류 송전은 대지(Earth)를 하나의 도체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최소 2선 이상이 소요되는 교류 송전에 비하여 경제적이다. 즉, 대지 귀로로 송전 가능한 경우는 귀로도체의 생략이 가능하다.

넷째, 직류 송전은 상대계통에 유효전력을 공급하지만 무효전력을 전달하지는 않으므로, 교류 계통 사고 시 인접 계통으로부터 유입전류가 증대하지 않아 계통 분할의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기존의 교류 계통을 적정 규모로 분할하여 직류 계통과 연계할 경우 단락 전류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계통 운영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섯째, 또한 주파수 및 전압이 서로 다른 송·수전 계통이 직류 계통으로 연계가 가능하되, 각 계통이 전기적, 기술적 제약 없이 각각 독립적인 운전이 가능하다.

단점도 있다. 첫째, 대용량 AC/DC 변환기에서 다량의 고조파가 발생해 고조파 필터를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 둘째, 직류에서는 전류0점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교류보다 우수한 성능의 차단기가 필요하며, 전압강하가 송전 전력의 크기에 비례해 증가한다.

셋째, 직류 전압을 높이면 부하손실은 줄어들지만 절연레벨을 높이기 위해서 투자비가 톺아지고, 전압을 낮추면 절연레벨은 작아지지만 부하손실이 커지므로, 절연레벨과 부하손실을 고려한 최적의 직류 전압을 선정하여야 한다.

직류 송전 방식이 교류 송전 방식에 비해 절대적인 기술적 우위를 보이는 것은 아니다. 또한 현재 대부분의 전력 계통이 교류식 인프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현재의 교류 기반 전력 시스템을 직류 시스템으로 온전히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고 비실용적일 것이다.

다만, 교류 전력 시스템 기반 하에서 직류 방식이 우월한 경우에 한해 적극적인 도입이 필요할 것이며, 이는 최근 중국, 인도 등 면적이 넓은 지역의 대형 송전 방식에서 HVDC 방식이 급속하게 도입되는 등,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

따라서 HVDC 활용이 증대되는 환경 변화에 따른 국내 관련 기술 발전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보다 수준 높은 한국형 HVDC 시스템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
Posted by 매실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