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태양이 머무는 건물 ‘BIPV’ 주목

 

 

                


 

 

태양광 에너지를 활용한 어플리케이션 가운데 시장규모가 큰 것이 BIPV(건물일체형태양광발전시스템)이다. 때문에 건설사를 중심으로 BIPV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시장조사 기관인 파이크리서치(Pike Research)는 2016년 세계 BIPV(건물일체형태양광발전시스템) 시장이 40억달러(한화 약 4조5,000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런 전망과 함께 국내도 BIPV 시장에 대한 업계의 눈길이 모이고 있다. 
지난해 발표된 파이크리서치 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 세계 BIPV 및 BAPV(건물적용태양광발전시스템) 설비용량은 215MW에 불과했다. 하지만 급격한 성장세를 나타내며 2016년까지 2.4GW에 도달할 것이라 전망했다. 
보고서는 CIGS(Copper Indium Gallium Selenide)등 고효율 전지 시장진입과 결정지 및 박막 실리콘에 의한 BIPV 디자인개발을 이유로 들었다.는 태양광발전시스템을 건축자재에 이용하는 것으로, 이를 통한 자체적인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 올해도 태양광산업이 호조를 보이자 관련 산업이 BIPV에 대해 긍정적 평가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국내는 높은 비용 때문에 민간시장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고, 그나마 정부의 지원정책으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SK케미칼 사옥과 같이 사업용 시공 사례가 늘고 있어 세계시장 전망이 국내에서도 실현될지 기대를 높여준다. 
이러한 기대는 국내 역시 상승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으로 이어졌다. SK케미칼 사옥을 설계한 이건창호 관계자는 건축시장이 살아나면 건축과 밀접하게 연결된 BIPV로선 낙관적이다 이라고 예상했다.
또한,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모듈 가격 역시 이러한 전망에 힘을 보태고 있다. 이러한 노력이 지속돼 그리드패리티(Grid Parity)가 앞당겨지면 민간시장 형성도 가능하다. 그리드패리티는 태양광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단가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기존 화력발전 단가가 동일해지는 시점을 말한다.
이를 위해 업계 역시 다양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색상적용이 가능한 DSSC(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이나 차세대 전지를 연구해, 개인 사용자들이 효율을 떠나 디자인적인 요소를 고려하는 시기를 준비하는 기업도 있다. 또한 설치공법 및 자재연구를 통해 BIPV 효율을 최적화하려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아울러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에서는 2009년부터 신재생에너지인력양성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 사업이 유망사업으로 인식되며 각 대학에서도 BIPV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준비하며 인력 기반이 다져지고 있다.

 

:
Posted by 매실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