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2016. 12. 9. 17:40

UAE, 전력기자재 수요 증가 기대 국내외 뉴스2016. 12. 9. 17:40

1. UAE 전력시장 구조 및 설비 현황

UAE 에너지부(Ministry of Energy)는 UAE 연방정부 차원의 전력, 담수, 지하자원의 생산 및 공급 등 에너지 정책을 수립하는 기관으로, 7개의 에미리트로 이루어진 연방국가 특성상, 에미리트별로 독자적인 발전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독자적 수전력청이 전력시장을 관리 및 운영하고 있다. 아부다비와 기타 북부 에미리트(아즈만, 라스알카이마, 푸자이라, 움알콰인)는 아부다비 수전력청(ADWEA)이, 두바이는 두바이 수전력청(DEWA)이, 샤르자에는 샤르자 수전력청(SEWA)이 관할 기관인 것이다.
2013년 기준, UAE에서 운영 중인 발전소는 총 40개이며, 이중 28곳이 전력과 수력발전 시설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아부다비 수전력청이 가장 많은 발전소(45%)를 보유하고 있으며, 뒤이어 두바이(28%), 샤르자(15%), 연방(12%) 순이다.
에너지부에 따르면, 2013년 기준 UAE 전력설비의 발전방식은 복합사이클터빈(가스와 스팀) 71%, 가스터빈 21.7%, 스팀터빈 7%, 디젤엔진과 태양에너지가 각각 0.1%와 0.2%로 나타나고 있다. 복합사이클터빈 또한 가스를 주원료로 하는 방식임을 감안했을 때, 에미리트의 에너지 발전은 거의 대부분을 천연가스에 의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 늘어나는 전력 소비에 전력기자재 수요 증가 기대

UAE의 경제발전 및 인구 증가로 인해 전력의 수요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며, 계속되는 산업 개발로 전력 수요는 계속 증가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2016년에는 118.8TWh로 집계되는 UAE 전력소비량이 2018년 133.4TWh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1인당 전력소비량 또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인다. 특히, 두바이가 2020년 엑스포 개최를 확정함으로써 2016~2019년 사이 엑스포 프로젝트 지원을 위한 전력소비량이 급증할 것으로 보여 관련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가 증가할 전망이다. 이에 2015년 한국의 대UAE 수출금액 기준 상위를 기록한 밸브, 디젤발전기, 열교환기 등 주요 전력기자재에 대한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UAE 연도별 전력소비량 현황 및 전망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전력소비량(TWh)

96.9

103.9

111.4

118.8

126.3

133.4

전력소비량 증감률

(전년대비)

3.9

7.3

7.2

6.7

6.3

5.6

1인당 전력소비량(KWh)

10,367.9

11,003.3

11,629.6

12,176.2

12,679.0

13,097.9

주: * 추정치, ** 전망치

자료원: Business Monitor International


3. 밸브(HS Code 848180)

2015년에는 저유가의 장기화로 인해 석유·가스 산업에서 신규 프로젝트의 수는 감소했으나, 부동산 개발, 인프라 개발 등의 건설프로젝트가 계속되고 있어 밸브의 수요는 꾸준할 전망이다.
2014년 밸브의 수입규모는 13억7000만 달러로, 2013년 대비 21.3% 증가했다. 주요 수입대상국을 살펴보면 한국을 포함한 중국, 이탈리아, 미국, 싱가포르 등이 상위권에 올랐다.
UAE에 진출한 유명 밸브 브랜드로는 KTM(미국), Orbit(미국), Pegler(영국), Klinger(호주), Baelz(독일) 등이 있다.


4. 디젤발전기(HS Code 850213)

저유가로 인해 GCC 석유·가스 프로젝트가 주춤하고 있는 반면, 인프라 구축 및 상업, 리테일 부분에 대한 프로젝트 발주는 계속되고 있어 디젤발전기의 시장 전망이 밝다.
2014년 디젤발전기 수입규모는 5억8000만 달러로, 2013년 대비 10.6% 수입규모가 감소했다. 2014년 수입대상국 1위를 차지한 영국은 2013년 대비 16.5% 감소한 2억6000만 달러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의 44.4%를 차지하고 있다.
디젤발전기의 주요 공급국은 미국과 유럽이며, 주요 진출업체는 JCB(영국), Himoinsa(스페인), Atlas Copco(스웨덴), Caterpillar(미국), Cummins(미국) 등이다.


5. 열교환기(HS Code 841950)

지난 10년간 석유가스 산업 및 HVAC 기타 제반 산업의 급격한 성장으로 UAE의 열교환기 시장은 상당한 성장을 기록했으나, 최근 이어진 저유가의 영향으로 수요 증가폭이 둔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4년 열교환기의 수입규모는 2억4000만 달러로 2013년 대비 70.2% 증가했다. 최대 수입대상국은 미국으로 2014년 7300만 달러를 기록, 2013년 대비 36.6% 증가했다.
UAE 열교환기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는 스웨덴, 독일, 영국 등의 유럽 국가이며 중국 등의 수입량은 적은 편이다. 한국은 품질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기타 아시아산 국가산 제품에 비해 시장 내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유럽산 제품에 대한 로열티를 갖고 있는 수요처들이 상당수 존재하고 있다.


6. 시사점 및 전망

밸브, 디젤발전기, 열교환기 등 주요 전력기자재는 주로 프로젝트를 시공하는 기업인 EPC를 통해 판매되고 있다. UAE 유통구조상 제조업체에서 직접 EPC 기업으로의 납품은 불가능하며, 에이전트를 통해서 EPC 기업 혹은 최종수요처로 납품할 수 있다. 반면, EPC 기업으로 전력기자재 납품을 하려면 프로젝트 발주처(예: 두바이 수전력청, 아부다비 수전력청 등)에 벤더 등록이 돼 있어야 한다. 특히 전력기자재의 경우, 제품 구매 시 가격이나 품질은 물론 A/S와 부품조달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어 적절한 사후관리 지원이 가능한 에이전트와의 거래가 시장 개척 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KOTRA 해외시장뉴스 http://news.kotra.or.kr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UAE, 전력기자재 수요 증가 기대
:
Posted by 매실총각

히트펌트에서 수력발전까지 에너지기술의 총집합

 

 

 



 

 

1. 히트(열)펌프

 

열은 그 자신만으로는 온도가 낮은 곳에서 온도가 높은 곳으로 이동할 수 없으며 열의 이동에는 반드시 일(Work)이 소요된다. 펌프가 물을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로 퍼올리는 기계라는 의미와 마찬가지로, 열펌프란 열을 온도가 낮은 곳에서 온도가 높은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사이클의 구성과 작동방법은 냉동기와 같으며 단지 저온열의 사용을 목적으로 할 때에는 냉동기, 고온열의 사용을 목적으로 할 때에는 열펌프(Heat Pump)가 되는 것이다.

열펌프는 열을 흡수하고 방열하는 원리의 구분에 따라 압축식, 화학식, 흡수식, 흡착식 등으로 분류되며 그중 가정용으로 많이 적용되는 형식은 압축식 열펌프이다. 이 압축식 열펌프는 에어컨이라 불리는 냉방장치의 역사이클로 생각하면 된다.

즉, 냉방전용의 에어컨은 실내에 설치된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열을 흡수하여 실외에 설치된 실외기의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열을 방열시키는 원리이며 열펌프는 반대로 실외기의 열교환기에서 열을 흡수하여 실내에 설치된 실내기의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열을 방열시키는 원리다.

압축식 열펌프 사이클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는 저온부 열교환기인 증발기, 압축기, 고온부 열교환기인 응축기, 팽창변의 4개 요소로 구분되며 작동유체인 냉매는 증발, 압축, 응축, 팽창의 변화를 계속하면서 순환한다. 저온저압의 습증기상태의 냉매는 증발기에서 증발되면서 주변에서 증발잠열을 흡수하며 증발된 저온저압의 건조포화증기상태의 냉매로 배출된다. 증발기에서 배출된 저온저압의 건조포화증기상태의 냉매는 압축기에서 단열압축하여 고온고압의 과열증기상태의 냉매로 되어 응축기로 유입된다.

응축기로 유입된 고온고압의 과열증기상태의 냉매는 응축잠열을 방출시키며 고온고압의 포화액체상태의 냉매로 되어 팽창변으로 유입된다. 고온고압의 포화액체상태의 냉매는 팽창변에서 엔탈피 팽창을 하고 저온저압의 습증기상태의 냉매로 증발기로 유입된다. 일반적으로 저온부 열교환기인 증발기는 실외에 설치되며 고온부 열교환기인 응축기는 실내에 설치된다. 저온부 증발기는 실외에 설치되어 주변에서 열을 흡수하게 되며(열원이라 하며 가정용으로는 공기가 일반적으로 많이 적용된다), 고온부 응축기는 실내에 설치되어 주변으로 열을 방출(히트싱크라 하며 공기가 일반적으로 많이 적용된다)하여 난방에 사용하게 된다.

 

 


 

 

 

2. 집단에너지 시스템

 

주거, 상업지역 또는 공업지역과 같이 다수의 열수용가에 개별적인 난방용 열원시설을 갖추지 않고 1개소 또는 수 개소의 집중된 열원설비로부터 에너지를 일괄 공급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열생산은 열병합 발전방식이나 소각로, 상업폐열, 히트펌프(Heat Pump) 등을 이용하는데 주 방식은 열병합 발전방식으로 우리나라의 목동이나 서울화력발전소도 이에 해당한다. 집단에너지 공급사업은 크게 나누어 공단지역의 열병합 발전사업과 주거지역에 대한 지역난방사업, 소집단 지역난방 및 자가용 열 병합발전 등을 들 수 있다.

 

 



 

 

3. 소집단 지역난방

 

통상 엔진 발전기 및 가스터빈 발전기는 액체 또는 기체연료를 사용하는 것으로써 발전효율이 30∼40%이므로 고온의 배기가스열(엔진인 경우에는 냉각열 포함)의 손실이 필연적으로 수반된다. 이와 같은 손실에너지는 폐열회수장치를 부착하여 증기 또는 온수형태로 회수해 사업주가 다른 인근 건물이나 산업체에 공급하는 공동소유 설비를 일본 및 구미 일부 국가에서는 소집단 지역난방(C.E.S.: Community Energy System)이라고 부른다.

 

 



 

 

4. 열병합 발전

 

일반 발전소는 발전효율은 35~40%에 불과하다. 즉 100이라는 에너지(연료: 석탄, 석유, 가스 등)가 투입되어 실제 전기로 생산되는 에너지는 35~40 정도의 효율밖에 얻지 못하고 나머지는 보일러의 배기가스로 방출(10 이내)되고 대부분(50~55)은 강물이나 바닷물과 같은 냉수를 이용하여 강제로 열을 빼앗아 버려야만 발전사이클이 돌아가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되는 시스템이다.

이때 만약 발전소를 열 수요가 있는 즉, 열이 필요한 도시 근처나 공장이 밀집한 곳에 지어서 바닷물이나 강물을 이용하여 버려지는 열을 회수하여 사용토록 하면 전기로 나오는 에너지가 35~40%가 될 것이며 열로써 이용되는 에너지는 50% 정도가 되어 효율은 최대 85~90%까지 올라갈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열과 전기를 같이 사용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쓰는 발전소를 열병합 발전소라 일컫는다.

우리나라에도 20여 곳의 산업체에서 개별로 또는 산업공단에서 단체로 열병합 발전소를 운영하여 전기와 함께 공장에서 필요한 증기를 동시에 생산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남서울과 3~4곳의 신도시에서 열병합 발전에 의해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고온수를 생산하여 난방과 급탕 등의 열로 활용되고 있다. 이렇게 열병합 발전을 할 때 증기나 열을 상당히 저렴한 값으로 생산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며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상당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다.

 

 



 

 

5. 자가 열병합 발전

 

산업체의 자가사용 및 빌딩, 호텔, 종합병원, 센터 등 대형 건물에 설치되는 동일건물용 열병합 발전 설비를 말한다. 최근 정유공장 등 산업체 열병합 발전사업 생산공정에서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에너지(부생가스를 이용한 가스터빈을 설치하여 자가 발전함으로써 공정에 소요되는 전기를 충당하고 가스터빈 발전기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폐가스(연소 배기가스))를 열 분해로에 공급하거나 혹은 폐열 보일러를 이용하여 증기형태로 회수, 공정에 활용하는 방식이 많이 도입되고 있다.

 

 

 


 

 

 

6. LNG 냉열(冷熱)발전

 

LNG는 산지에 따라 그 조성이 조금씩 다르지만 주성분인 메탄의 비점이 영하 162℃로 kg당 약 200kcal의 냉열을 가지고 있어 액화산소 및 액화질소의 제조, 폐타이어 등의 분쇄, 식품의 냉동보존, 식품의 분쇄 및 드라이아이스 또는 액화 탄산가스와 제조 등에 이용된다. LNG를 가스화시키는 기화기 속에서 해수와 화력발전소의 열교환을 시키는데 이때 방출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것이 냉열발전으로 화력발전소의 보일러와 중기 응축기 역할을 열매체의 기화기와 LNG기화기가 각각 하는 셈이다. 일본은 1974년 11월 출력 400kW의 시험발전소를 건설하여 세계 최초의 냉열발전에 성공한 데 이어 오사카 가스는 발전능력 1,450kW의 실용발전소를 건설하였다.

 

 

 

 


 

 

 

7. 열교환기

 

열교환기는 산업용 요로(窯爐)에서 배출되는 통로에 설치하여 버려지는 폐열(廢熱)을 회수하는 장비로, 일반적으로 열교환기의 전열관 외부로 폐열이 지나가고 전열관 내부로는 공기 또는 물이 통과되어 폐열로부터 열을 빼앗아 이들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렇게 가열된 공기 또는 물은 다시 버너로 투입되어 연소(燃燒)용 공기로 사용되거나 온수난방장치 혹은 뜨거운 물을 사용하는 현장 등에 활용하여 그만큼의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는데 기여한다.

열교환기의 종류는 분류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으나 재료적인 측면에서 금속재료를 사용하는 금속재열교환기와 세라믹재료를 사용하는 세라믹열교환기, 금속재와 세라믹재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혼합열교환기가 있으며 금속재는 부식(腐蝕), Creep 현상과 내열성(耐熱性) 등에 의하여 섭씨 800℃ 이하에서 사용할 수 있다. 세라믹재료는 부식에 강하고 내열성, 고온 강도 등이 우수하여 800℃ 이상 1,400℃까지의 고온폐열회수에 사용된다. 열교환기 설치에 따른 에너지절약 효과는 산업용 요로에서 나오는 폐열에 의하여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 온도가 상온보다 100℃ 높아질 때 약 5% 정도의 에너지절약 효과가 있다.

:
Posted by 매실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