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수배전 메인 CT 고장'에 해당되는 글 2

  1. 2013.09.02 수배전 메인 CT 고장 시 나타나는 현상
  2. 2013.07.31 8월 전력기술 질의회시

에너지 법령 질의회시

전기에너지 메인.jpg 

 

 

 

수배전 메인 CT 고장 시 나타나는 현상

 

 

[질의] : 380[V] 3상4선식 중성선 별도 포설 관련

회사 구내선로 중 380[V] 3상3선이 지중으로 180[m] 포설된 선로가 있습니다. 전기심야 보일러로 조작 220[V]는 별도로 투입하였습니다. 최근 전기냉난방기 설치계획으로 인해 N상을 추가 포설하고자 하는데 지중에 같은 선로상 포설이 어려운 실정입니다. 지상으로 별도 포설은 간단합니다. 별도 포설 시 문제가 발생할 경우의 수가 궁금합니다.

[회시]

기본적으로는 설계회사에 용역을 발주하여 용역 성과물에 의거 시공하심이 바람직하며 상식적으로는 Neutral을 포함한 4C 케이블을 새로운 루트로 설계됨이 바람직하며 단기간 동안 한시적으로 사용한다면 별도 루트로 Neutral Line을 설계도서 없이 시공할 수는 있겠지요. 안전관리적 측면에서 볼 때 효율성, 안전성이 결여된다고 사료됩니다.

 

 

[질의] : 중성선 소손에 대한 문의

저는 아파트에서 근무하는 사람입니다. 20일 전쯤 새벽에 지하 공동구 쪽에서 중성선이 소손되어 세대로 과전압이 흘러 전자기기가 고장 나는 사고가 발생하였습니다. 원인과 재발 방지 대책이 궁금합니다.

[회시]

아파트 전원공급용 TR.이 일반적으로는 3상4선식 380/220[V]으로 추정될 수 있으며 1상3선식 220/110[V]이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원인은 중성선 개방에 의한 양단 임피던스의 불평형에 의한 원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대책으로는 예방하고자 하는 위치의 차단기에 POR(결상계전기)을 연동시켜 보호하는 방법을 기본적으로는 생각할 수 있습니다.

 

 

[질의] : 트레이에 케이블 포설 시

케이블 트레이에 FR를 사용해도 되는지요. 아니면 TFR을 사용해야 하는지요?

[회시]

트레이 공사에서 사용하는 전선 중 FR전선은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조회사에 따라 표기 방법이 다르오니 확인하시고 참고로 TCV TFR-CV TFR 등으로 표기되며 이는 600[V] 트레이용 난연 케이블이라고 표기된 케이블을 사용하십시오. 이는 케이블 성적서를 받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FR-8 TFR-8 등은 600[V] 이하 소방설비의 비상전원회로에 사용되는 트레이용 난연 케이블이며 트레이 공사에 적용됩니다.

 

 

[질의] : 수배전 메인 CT 고장 시 나타나는 현상

[회시]

CT 고장은 단선과 CT인출단의 단락이 있을 수 있으며, 발생하면 전류계(A-meter)가 동작하지 않으며 고장전류 또는 과전류 등이 검출되지 않으므로 보호계전기도 동작하지 못합니다. 또한 CT 개방 시는 CT 소손, 감전 등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질의] : 계기용 PT 퓨즈 소손에 대하여

440[V] 계기용 PT 퓨즈의 소손이 자주 일어납니다. 퓨즈 소손의 원인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회시]

1. PT 2차측에 사용되는 각 계기 등의 부담이 PT의 정격부담을 초과할 경우 퓨즈가 소손될 수 있습니다. 즉, PT 2차측의 과부하 또는 단락에 의해 퓨즈가 소손될 수 있으니, 클램프 메터로 PT 2차측의 전류를 측정하여 과전류 원인을 제거하시면 퓨즈 소손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2. 참고로 GPT의 퓨즈 용단은 조작 회로, CLR의 저항값 및 2차 회로의 지락, 단락 등과 보호회로의 지락 고장 시 보호 계전기(OVGR, SGR, DGR)가 적정 시간 내에 동작하지 않는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퓨즈가 용단 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현장점검을 하기 바랍니다.

 

 

[질의] : 결상보호 계전기 설치 문의

현재 특고압 MOF 2차에 VCB를 설치하고 5 BANK의 변압기 1차측에 PF를 설치 사용 중입니다. 한전 선로에 결상이 발생할 경우 자동 차단할 수 있도록 결상 보호 계전기를 설치하고자 하는데 방법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회시]

특고압 선로에 3상 PT를 이용한 POR(결상계전기)을 설치하고 결상 시 차단기(VCB)가 트립될 수 있도록 하면 됩니다.

 

 

[질의] : 열동계전기 & EOCR

CONTROL PANEL에서 MCCB, 마그네트, EOCR 순으로 설계, 제작하려고 하는데 열동계전기와 EOCR을 조합해서 해야 한다는 말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EOCR만 설치하면 되는 것 같은데 불합리한 것 같아 문의드립니다.

[회시]

열동계전기 및 EOCR 모두 부하기기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설치하며, 두 계전기를 동시에 사용해도 무방하나 경제성과 부하특성을 고려하여 어느 하나만 사용해도 됩니다.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수배전 메인 CT 고장 시 나타나는 현상
:
Posted by 매실총각
2013. 7. 31. 10:33

8월 전력기술 질의회시 전기산업특집2013. 7. 31. 10:33

질의회시메인.jpg

 

 

 

 

8월 전력기술 질의회시

 

 

 

수배전 메인 CT 고장 시 나타나는 현상

[질의] : CT 고장 시 나타나는 고장 현상은 어떤 것이 있나요?

[회시] : CT 고장은 단선과 CT인출단의 단락이 있을 수 있으며, 발생되면 전류계(A-Meter)가 동작하지 않으며 고장전류 또는 과전류 등이 검출되지 않으므로 보호계전기도 동작하지 못합니다. 또한 CT 개방 시는 CT 소손, 감전 등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계기용 PT 퓨즈 소손에 대하여

[질의] : 440[V] 계기용 PT 퓨즈의 소손이 자주 일어납니다. 퓨즈 소손의 원인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회시] : 1. PT 2차 측에 사용되는 각 계기 등의 부담이 PT의 정격부담을 초과할 경우 퓨즈가 소손될 수 있습니다. 즉, PT 2차 측의 과부하 또는 단락에 의해 퓨즈가 소손될 수 있으니, 클램프 메터로 PT 2차 측의 전류를 측정하여 과전류 원인을 제거하시면 퓨즈 소손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2. 참고로 GPT의 퓨즈 용단은 조작 회로, CLR의 저항값 및 2차 회로의 지락, 단락 등과 보호회로의 지락 고장 시 보호 계전기(OVGR, SGR, DGR)가 적정 시간 내에 동작하지 않는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퓨즈가 용단 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현장점검을 하기 바랍니다.

 

 

결상보호 계전기 설치 문의

[질의] : 현재 특고압 MOF 2차에 VCB를 설치하고 5 BANK의 변압기 1차 측에 PF를 설치 사용 중에 있습니다. 한전 선로에 결상이 발생될 경우 자동 차단할 수 있도록 결상 보호 계전기를 설치하고자 하는데 방법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회시] : 특고압 선로에 3상 PT를 이용한 POR(결상계전기)을 설치하고 결상 시 차단기(VCB)가 트립될 수 있도록 하면 됩니다.

 

 

열동계전기 & EOCR

[질의] : CONTROL PANEL에서 MCCB, 마그네트, EOCR 순으로 설계, 제작하려고 하는데 열동계전기와 EOCR을 조합해서 하여야 한다는 말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EOCR만 설치하면 되는 것 같은데 불합리한 것 같아 문의드립니다.

[회시] : 열동 계전기 및 EOCR 모두 부하기기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설치하며, 두 계전기를 동시에 사용해도 무방하나 경제성과 부하특성을 고려하여 어느 하나만 사용해도 됩니다.

 

 

비접지 방식에서의 지락계전기

[질의] : 22.9[kV]/220[V] 2,100[kVA] 중성점 비접지 방식의 설비로서 MAIN VCB에 보호 계전기로 OCR 및 OVGR과 OCGR이 연동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비접지 계통에서는 OCGR이 아니라 SGR을 설치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설비상 문제가 없나 알고 싶습니다.  

[회시] : 귀하께서 말하는 22.9[kV] 비접지 방식이라 함은 수전변압기 1차 측이 △결선으로 생각되나, 22.9[kV] 한전의 공급측은 중성선 접지 방식이므로 질의한 메인 VCB에 과전류 및 지락보호방식으로 OCR과 OCGR, 저전압 및 과전압에 대하여는 UVR과 OVR을 설치하여 보호계전방식으로 적용하고 있습니다.

OVGR은 비접지계통에 대한 보호방식으로서 일반적으로 SGR과 병행하여 지락사고 보호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과전류 계전기 탭 조정 방법

[질의] : 동력설비와 냉동기설비의 OCR 계전기 380[V]에 맞는 전류를 조정하기 위한 OCR 계전기 탭 조정 방법을 알려 주세요.

[회시] : 질문하신 과전류계전기의 정정 탭 값 계산은 보호하고자 하는 부하설비의 정격전류를 산출한 후 CT비를 곱한 값에 약 1.05∼1.5배를 선정하면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모터부하일 경우 기동전류에 의한 트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정레버(트립시간레버)가 Long Type의 모터전용 과전류 계전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계전기의 탭 값 변경방법은 계전기의 제조사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제품 설명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보호 계전기

[질의] : 보호 계전기에 대해서 판넬안에 전선이 단자대에 접속이 되어 있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가보니 차단기는 안 내려갔는데 전선의 피복이 열화가 되어 있더군요. 어째서 그런 건가요? 메인 차단기가 있고, 분기별로도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보통 이런 경우도 발생이 되나요?  

[회시] : 차단기는 안 내려갔는데 전선의 피복이 열화된 것은 전선과 단자대 접속부위에서 전기적 접속이 견고하지 못하여, 접촉 불량을 일으켜 피복이 열화 되었거나, 메인 및 분기별로 설치된 차단기의 정격전류, 부하전류, 전선의 허용전류 등의 보호협조관계가 적절한지 검토가 이루어져야 하겠습니다.

 

 

과전류계전기 탭 조정에 관하여

[질의] : 고압 3,300[V] 에 OCR(과전류계전기) 탭 조정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CT비는 600/5[A] 이고 부하전류는 240[A] 흐르고 있습니다. 현재 OCR 탭은 3[A]에 되어있습니다. 탭 전류를 구하는 공식과 지금 설정되어있는 탭 값이 맞는지 알려주세요.

그리고 관련 책자에 보면 탭 전류 = 부하전류 × 여유율 × CT비 라고 되어있는데 일반적으로 여유율[%]을 얼마나 주는지요?

[회시] : 우선 계전기 탭은 정격전류를 계산하면, 정격 전류 I = {P/(√3 × V)} 탭 전류 = 정격전류 × CT비 × 여유율(k) 상기 질문 상의 부하전류가 정격전류라고 할 때 탭 전류 = 240 × 5/600 × 1.5 = 3 으로 현재 탭 3은 적절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변압기 1차 한시 Setting시 여유율[k]은 125∼150[%] 정도에 적용]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8월 전력기술 질의회시
:
Posted by 매실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