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재활용산업 기본계획’따라 16개 전략사업 펼쳐 






부산시는 저탄소 녹색성장 재활용산업의 기반조성을 위해 고형폐기물산업 등 부산시의 재활용산업 육성의 밑그림이 될 ‘부산시 재활용산업육성 기본계획’을 확정했다. 

이번 기본계획은 ‘녹색성장 자원순환형 재활용산업 기반 조성’을 비전으로 ▲ 재활용산업 지원 등 활성화 유도 ▲ 집적화된 자원순환 특화단지 조성 ▲ 발생 폐자원의 효율적 관리 ▲ 운영·기술지원 체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폐자원을 단순처리하는 과정에서 벗어나 폐자원의 에너지화, 고형 폐자원의 효율성 제고, 폐수의 물자원화, 폐자원의 효율적 지원체계 구축 등 자원순환 산업의 사업여건 환경변화에 적극적이고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방침이다. 

이번 기본계획에는 총9천642억원의 사업비가 소요되며, ‘고형폐기물산업 단지조성, 폐기물 에너지산업 육성, 폐수 재이용산업 육성, 재활용 네트워크 기반구축’의 4개 분야 16개 전략사업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폐자원 수거부터 처리까지 폐자원 활용의 집적화를 목적으로 추진하는 ‘고형폐기물산업 단지조성’ 분야에는 ▲ 재활용품 협동화 단지 조성 사업 △철스크랩 협동화단지 조성사업 ▲ BR(Busan Resource)센터 설치사업 ▲ 건설폐기물 처리시설 전문단지 조성사업의 4개 전략사업이 포함되어 있다. 

‘폐기물 에너지산업 육성’ 분야는 폐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통해 바이오에너지 등 신재생에너지를 창출하기 위한 것으로, ▲ 생활폐기물 연료화 및 전용보일러 건립사업 ▲ 생곡매립장 LFG발전시설 운영사업 ▲ 광역에너지 자원센터 여열활용사업 ▲ 폐비닐 고형원료사업 ▲ 폐비닐 이용 유화사업 ▲ 음식물류 폐기물자원화시설 설치운영사업 ▲ 하수슬러지 육상처리시설 설치사업의 7개 전략사업으로 구성된다. 

‘폐수 재이용산업 육성’ 분야는 산업폐수의 효율적 관리를 통해 물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 폐수처리업체 단지화 추진사업 ▲ 피혁·도금단지 이전 단지화 추진사업의 2개 사업으로 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재활용 네트워크 기반 구축’ 분야는 재활용산업 활성화를 위한 협력 구축을 위한 것으로 ▲ 생곡 및 주변 산단 발생 폐자원 흐름 분석, 수요처 연계 등 통합 관리 역할을 수행할 ‘자원순환 비즈니스 협력센터 설립사업’ ▲ ‘ISEC(산업공정 부산물 거래소) 설립사업’ ▲ ‘EIP(생태산업단지) 추진사업’의 3개 사업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번 기본계획에 포함된 16개 전략사업 중 ‘생활폐기물 연료화 및 전용보일러 건립사업’ 등 7개 사업은 계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며, ‘재활용품 협동화단지 조성’ 등 9개는 신규사업이다. 부산시는 신규사업의 경우 향후 용역을 통해 사업대상을 구체화하여 내실 있게 추진하고, 점차 사업영역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부산시, 하수 슬러지를 화력발전소 연료로 


부산시는 오래전부터 재활용 에너지 개발을 위해 노력해 오고 있다. 부산지역의 지난해 말 한국남동발전(주)과 관내 하수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오니(슬러지)를 이용하여 생산한 유기성고형연료를 화력발전소 연료로 활용하기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오니(슬러지, Sludge)는 하수처리과정에서 생기는 침전물로 하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성 물질을 먹고 사는 미생물 덩어리다. 부산시에서는 연간 약200천톤의 하수 슬러지가 발생하고 있으며, 60% 정도인 120천톤은 해양투기하고, 나머지는 매립장에 매립해 오고 있었다. 그러나 ‘런던협약 '96의정서’가 지난 2006년 발효됨에 따라 우리나라는 2012년 이후부터는 하수 슬러지를 해양에 배출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전량을 육상에서 처리하거나 재활용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이번 협약에 따라, 부산시는 2012년 8월 준공 예정인 ‘하수 슬러지 육상처리시설’을 이용해 유기성고형연료를 생산하고, 한국남동발전(주)에서는 유기성고형연료를 화력발전소의 보조연료로 활용하게 된다. 한국남동발전(주)는 한국전력공사의 자회사로, 삼천포·영흥·영동·여수·분당 복합화력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다. 이번에 부산시가 제공하는 유기성고형연료는 2012년 9월부터 삼천포 화력발전소의 보조연료로 사용될 예정이다. 



부산시, 수소연료전지발전소, 풍력발전 사업 적극 나서


부산시는 강서구 화전산업단지 내에 300억원의 민간투자(부산연료전지발전(주))로 5.6MW규모의 전력을 생산하는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준공식을 갖고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 

부산시가 화석연료 사용을 저감하고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시켜 기후변화협약 등 국제환경규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코발트스카이社(에너지 및 탄소시장 전문 컨설팅 회사)와 수소연료전지발전소 부산지역 건립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한 결과이다. 

코발트스카이社는 지난 4월에 부산연료전지발전(주)라는 특수목적법인을 설립하고, 5월에 수소연료전지발전소를 착공했다. 이후 시운전을 거쳐 10월 20일 준공식을 개최하고 본격적으로 전기를 생산·판매할 예정이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전력량은 연간 4만2천MWh로 약 7천5백 가구가 사용할 수 있으며, 발전과 동시에 생산되는 열은 부산시와 협의하여 인근의 사회복지시설 등에 무상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또한 지난해 8월엔 기후변화 대응 및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해 추진된 ‘소형 풍력발전 가로등 설치사업’이 완료되어 본격 가동됐다.  

이번에 설치된 소형 풍력발전 가로등은 높이 10m, 폭 1.7m 규모에 LED를 적용한 모델로 풍력발전 블레이드(높이 1.6M, 폭 1.38M 탄소섬유)와 태양광 패널(2개 80W)이 장착되어 있다. 풍력과 태양광으로 자체 전력을 생산하여 전기료 절감은 물론,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에도 기여하며, 향후 해안도로나 방파제 등의 가로등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번에 설치된 가로등은 기존의 수평축 풍력발전기에 비해 소음이 적고, 바람의 방향과 무관하게 발전이 가능한 수직축 방식의 풍력 발전기를 이용하고 있다. 

:
Posted by 매실총각

도시형 풍동식 소형풍력 발전기술(날개없는 풍력발전)

 

 

 

 

기본적으로는 날개(블레이드) 대신 풍동(Wind Tunnel, 風洞: 빠르고 기류를 일으키는 장치) 속에 터빈을 두어 바람의 힘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이다.

풍력의 경우 바람이 많은 곳에 대형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는 것이 보통이나 걸음 나아가서 도시에 항상 불고 있는 상대적으로 약한 바람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것이 도시형 소형 발전이다. 터빈을 이용하여 날개 없고 조용한 소형 풍력 발전기를 만들 있으면 건물 옥상 도시 곳곳에서 발전을 있게 된다.

기술의 가장 가치는 분산전원으로서의 가치로서 전력을 사용하는 바로 근처에서 발전을 하여 장거리 송전을 거치지 않고 전력을 공급받는 것이므로, 송전 손실이 적다. 특히 태양광 발전과 함께 설치하면 바람은 보통 태양이 비치지 않는 날에 강하므로 상호 보완적이며 효과를 얻을 있다.

 

:
Posted by 매실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