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

« 2025/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SCADA'에 해당되는 글 2

  1. 2016.05.02 전력 용어
  2. 2013.01.08 기술 표준화 프레임 만들기 한창
2016. 5. 2. 11:53

전력 용어 전력용어/영어2016. 5. 2. 11:53

■ FERC(Federal Energy Regulatory Commission, 미 연방에너지규제기관)
미국의 연방기구로 독립적인 에너지 규제를 담당한다. 1977년 10월 기존 연방전력위원회(Federal Power Commission)가 폐지되면서 신설되었으며, 각 주간의 전력 송전 및 도매, 천연가스의 수송 및 판매, 파이프라인을 통한 석유의 수송 등에 관한 규제, 수력발전의 면허, 전력, 가스, 석유 산업과 관련된 환경문제 등에 관한 규제를 주요 업무로 하고 있다.


■ GAPLESS 피뢰기
어떠한 직·병렬 복합의 방전 갭 없이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조합된 비선형 저항을 가진 피뢰기를 말한다. 종래의 피뢰기는 모두 다 직렬 갭과 특성요소로 구성되는 밸브 저항형 피뢰기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비선형성이 뛰어난 금속 산화물 저항체(ZnO)를 특성요소로 사용한 GAPLESS 피뢰기가 실용화되고 있다. 이 특성요소는 대략 전압영점 근방까지 비선형성이 유지되는 것이 특징이다.


■ ICAP(Installed Capacity Adequacy Procedure)
용량예비력을 확보하기 위한 용량의무 제도의 하나로서, 미국PJM 등에서 운용하고 있다.
ICAP 제도는 판매사업자 등에게 자신이 공급하는 지역의 최대전력에 일정비율의 예비력을 더한 발전설비 용량을 발전사업자와의 계약, 자체건설 또는 현물시장을 통해 확보토록 의무를 부과하는 제도이다.
에너지 시장과는 별도로 용량예비력을 거래하는 현물시장인 용량시장이 운영되고 있으며, 용량의무를 미 이행한 판매사업자에게는 Penalty가 부과된다.


■ ISO(Independent System Operator)
전력거래 시장의 한 형태인 탁송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설립되는 독립된 계통운용자이다. 정해진 규칙(Pool Rule)에 따라 발전소급전지 시, 계통의 안정도 및 신뢰도 유지 등 계통의 안정운용을 수행한다.


■ SOE(Sequence Of Event)
전력설비의 운전정보를 시간대별로 정확히 파악하여 전력계통사고 분석 등에 활용하기 위한 기능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취득은 제어소장치가 현장의 원격소 장치에서 전력설비 운전정보를 취득한 후, 제어소장치의 시간정보를 부가하여 사령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현장설비의 실제 동작시간과 제어소 장치에서 취득한 동작시간과는 다소의 차이(2~4초)가 발생하기도 한다.

 

■ Net Pool
개별적으로 이루어진 쌍방계약을 바탕으로 운영하는 체제를 말하며, Pool에서는 쌍방향계약과 실제 사용량의 차이를 정산한다.


■ PLU(Power Load Unbalance)
발전기 출력과 터빈출력을 비교하여 불평형이 될 경우 터빈의 CV(Control Valve)와 IV(Intercept Valve)를 조절함으로써 평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 기력발전
연료를 보일러에서 연소시켜 발생한 증기를 이용해 증기터빈을 가동하고 이와 연결된 발전기로부터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 방식이다.


■ RTU(Remote Terminal Unit)
RTU는 SCADA 시스템의 구성장치이며, 원격소장치라고도 한다. 발·변전소에 설치되어 현장의 전압, 전류, 전력(량)등의 측정값과 차단기, 스위치 등의 닫힘/열림 상태를 실시간으로 수집·저장하고 중앙급전소의 EMS 또는 지역급전소의 SCADA 장치로부터 주기적인 요구에 따라 저장된 측정값과 상태를 EMS 또는 SCADA 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이와 반대로 EMS 또는 SCADA 장치로부터 차단기의 닫힘/열림 제어, 발전기 발전량제어 등의 제어명령을 받아 차단기, 발전기와 같은 현장설비를 직접 제어하는 장치이다.


■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CADA란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또는 감시제어, 데이터 수집시스템이라고도 한다.
SCADA 시스템은 발전·송배전시설, 석유화학 플랜트, 제철·공정시설, 공장자동화시설 등 여러 종류의 원격지 시설 장치를 중앙집중식으로 감시제어 하는데 사용된다.
전력분야에서는 발·변전소의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감시·측정함으로써 중앙의 급전원에 실시간으로 제공되며, 급전원의 조작에 의해 발·변전소 설비를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 가로등
일반 공중의 편익을 위해 도로·교량·공원 등에 조명용으로 설치한 전등 또는 교통신호등, 도로표시등, 기타 이에 준하는 전등으로, 이는 소형기기를 포함한다.


■ 계통한계가격
거래시간별로 일반발전기의 거래전력량에 대해 적용하는 전력시장가격을 의미한다.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전력 용어

'전력용어/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력용어  (0) 2016.06.29
전력 용어  (0) 2016.05.30
전력용어  (0) 2016.03.28
전력 용어  (0) 2016.02.24
전력 용어  (0) 2016.01.25
:
Posted by 매실총각

기술 표준화 프레임 만들기 한창

스마트그리드 전기설비연구회 출범・・・표준화 워크숍, 세미나 등 활발

전력산업은 국내 전체 온실가스 배출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전력산업 분야의 스마트그리드는 기후변화 적극 동참하기 위한 필요한 내용이다. 
최근 한국조명, 전기설비학회가 스마트그리드 전기설비연구회(이하 연구회)를 출범한 것은 이같은 경향을 보여주는 증거다. 연구회에선 스마트그리드 사업이 다른 나라에 비해 유리하다고 판단하는데, 먼저 빈약한 천연자원, 우수한 기술력으로 세계적으로 앞서갈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회는 스마트그리드의 성공적 구축과 세계 시장 선점을 위해서는 표준화 추진을 비롯해 관련기술을 누가 더 빨리 개발해 상용화 시키느냐가 관건이라고 본다. 특히 전력계통은 컴퓨터 시스템을 통한 제어가 이뤄지고 있으며, EMS(에너지 제어 시스템), SCADA(송변전 자동화 시스템), DAS(배전자동화 시스템), 원격지침 등과 같은 스마트그리드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기술 성능을 인정받아 해외 수출이 가능해 사업 전망은 밝다는 것이다. 
연구회는 실질적인 스마트그리드 전기설비 분야의 기술개발 현황과 에너지 제로하우스, 스마트빌딩 및 스마트 팩토리 기술 등의 적용 가능성, 스마트그리드 전기설비 기준 및 규격 현황 등에 관한 전문적인 학술 연구사업의 활성화와 기술전파활동을 목표하고 있다.  
이와 함께 연구계에선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프레임워크 전문가 워크숍’ 등 다양한 세미나, 컨퍼런스 등 연구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표준화 프레임워크, 산업계 정부 정책 모두 고려해야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원장 허경)과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회장 구자균)가 개최한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프레임워크 전문가 워크숍’은 그중 눈에 띄는 행사였다. 워크숍엔 오광해 기술표준원 스마트그리드 PM과 김용진 스마트그리드협회 상근이사, 문영환 전기연구원 스마트그리드연구센터장, 김대경 전기연구원 전력설비지능화연구센터장 등 전문가 60여명이 참석했으며, 워크숍에서는 IEC와 해외 각국에서 추진중인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프레임워크에 대한 분석 및 발표가 이어졌다.
스마트그리드협회는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프레임워크 구축과제를 설명하며 미국 NIST와 일본, 독일 등 해외 각 국과 IEC의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연구에 대한 분석결과를 내놓았다. 이일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마트그리드기술연구팀장은 뒤이어 지능형 소비자(Smart Place)와 지능형 운송(Smart Transportation) 분야의 국제 표준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김대경 전기연 센터장은 미국과 일본에서 시행한 표준화 분석은 연구 성격에서 큰 차이가 있다고 전제하며 우리나라는 표준화 프레임워크 분석은 산업체의 연구방향과 정부 정책 등을 고려해 두가지 방식을 모두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해외 사례를 바탕으로 우리 기업들에서도 스마트그리드 기술 및 제품 표준화에 적극 노력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그 외에도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작업은 국제표준에 중점을 두고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과 원활한 표준화 추진을 위해 법적 제도정비와 재정적 지원도 필요하다고 지적됐다.

:
Posted by 매실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