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7. 24. 17:45
서울시, 하수 소화가스 이용해 8천5백세대 전기 공급 국내외 뉴스2012. 7. 24. 17:45
서울시가 서남물재생센터 하수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가스를 이용해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 열병합 발전 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이는 난지물재생센터에 이어 두 번째로 실시되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으로 하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가스를 민간 발전사업자에게 공급하고, 발전사업자는 이를 전기와 열로 생산·판매하는 열병합 발전 사업이다.
<8월 말 사업자 선정하여 본격화, 일평균 78MWh의 전기 생산>
시는 소화가스 열병합 발전 사업을 위해 민간 발전 사업자를 대상으로 사업제안 공고를 7월 18일(수)부터 실시하고, 오는 8월말 사업 제안내용을 평가 후 사업자를 선정·협약을 체결하여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사업제안 공고를 통해 서남물재생센터는 일 52,000㎥의 하수 소화가스를 민간 발전사업자에게 공급하고, 사업자는 이를 연료로 사용해 일평균 78MWh의 전기를 생산하여 판매하며, 발전시 발생하는 약 100GCal의 열은 소화조 가온용으로 사용한다.
시는 열병합발전 사업 부지를 제공하고 사업 추진에 필요한 행정절차를 지원하게 되며, 사업자는 사업계획, 설계 시공 및 운영관리 등 열병합 발전사업 전반에 대한 비용 전액을 투자하고 전기와 열 판매를 담당한다.
본 사업은 그동안 마땅한 활용처가 없어서 소각 처리하던 잉여 소화가스와 소화조 가온용 소화가스를 열병합 발전에 전량 활용하고 소화조 가온용 온수는 발전과정에서 생산되는 폐열을 활용함으로써 에너지 활용 극대화 모델로 평가되고 있다.
<연간 약 8,500세대 전기 공급으로 원전하나줄이기 사업 추진에 박차>
이를 통해 연간 약 8천500세대 사용분의 전기 공급도 가능하며, 연간 석유환산 9천800톤의 화석연료 수입대체 효과와 더불어 CO2 1만6천톤의 온실가스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시의 역점사업인 원전하나 줄이기 시책 추진에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다.
<소화가스 열병합 발전 사업은 민간과 행정기관 상호 윈-윈 사업>
특히, 하수 소화가스를 이용하는 본 사업은 ‘11년 7월 한국지역난방공사와 난지물재생센터 소화가스 활용 집단에너지 사업을 추진한 이래 동일사업모델의 확대·전파함으로써 민간 발전 사업자와 공공기관이 상호 윈-윈 하는 수범사례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소화가스 열병합 발전 사업은 태양광, 연료전지 등 타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비하여 사업부지 면적이 적고 운영비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서울시는 하수 소화가스 공급으로 매년 약 10억 원 정도의 수익을 얻게 됐고, 사업자는 신재생에너지인 소화가스를 활용하여 발전함으로써 발전사업자에게 부과된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RPS)를 이행할 수 있게 되었다.
※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 제도(RP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 일정 규모 이상의 발전설비를 보유한 발전사업자에게 총 발전량의 일정량 이상을 신재생에너지(소화가스, 태양광, 연료전지 등)로 생산한 전력을 공급토록 의무화
권기욱 서울시물관리정책관은 “최근 전력난이 가중되는 국가적 상황에서 신재생에너지인 소화가스를 이용한 전기 생산이 전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이다”며, “그동안 혐오시설로만 인식되던 서남물재생센터가 소화가스를 이용한 차량연료화시설, 열병합 발전시설, 태양광발전 시설을 갖추게 됨으로써 신재생에너지 복합 센터로 변모할 전망이다”고 말했다.
이는 난지물재생센터에 이어 두 번째로 실시되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으로 하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가스를 민간 발전사업자에게 공급하고, 발전사업자는 이를 전기와 열로 생산·판매하는 열병합 발전 사업이다.
<8월 말 사업자 선정하여 본격화, 일평균 78MWh의 전기 생산>
시는 소화가스 열병합 발전 사업을 위해 민간 발전 사업자를 대상으로 사업제안 공고를 7월 18일(수)부터 실시하고, 오는 8월말 사업 제안내용을 평가 후 사업자를 선정·협약을 체결하여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사업제안 공고를 통해 서남물재생센터는 일 52,000㎥의 하수 소화가스를 민간 발전사업자에게 공급하고, 사업자는 이를 연료로 사용해 일평균 78MWh의 전기를 생산하여 판매하며, 발전시 발생하는 약 100GCal의 열은 소화조 가온용으로 사용한다.
시는 열병합발전 사업 부지를 제공하고 사업 추진에 필요한 행정절차를 지원하게 되며, 사업자는 사업계획, 설계 시공 및 운영관리 등 열병합 발전사업 전반에 대한 비용 전액을 투자하고 전기와 열 판매를 담당한다.
본 사업은 그동안 마땅한 활용처가 없어서 소각 처리하던 잉여 소화가스와 소화조 가온용 소화가스를 열병합 발전에 전량 활용하고 소화조 가온용 온수는 발전과정에서 생산되는 폐열을 활용함으로써 에너지 활용 극대화 모델로 평가되고 있다.
<연간 약 8,500세대 전기 공급으로 원전하나줄이기 사업 추진에 박차>
이를 통해 연간 약 8천500세대 사용분의 전기 공급도 가능하며, 연간 석유환산 9천800톤의 화석연료 수입대체 효과와 더불어 CO2 1만6천톤의 온실가스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시의 역점사업인 원전하나 줄이기 시책 추진에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다.
<소화가스 열병합 발전 사업은 민간과 행정기관 상호 윈-윈 사업>
특히, 하수 소화가스를 이용하는 본 사업은 ‘11년 7월 한국지역난방공사와 난지물재생센터 소화가스 활용 집단에너지 사업을 추진한 이래 동일사업모델의 확대·전파함으로써 민간 발전 사업자와 공공기관이 상호 윈-윈 하는 수범사례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소화가스 열병합 발전 사업은 태양광, 연료전지 등 타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비하여 사업부지 면적이 적고 운영비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서울시는 하수 소화가스 공급으로 매년 약 10억 원 정도의 수익을 얻게 됐고, 사업자는 신재생에너지인 소화가스를 활용하여 발전함으로써 발전사업자에게 부과된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RPS)를 이행할 수 있게 되었다.
※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 제도(RP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 일정 규모 이상의 발전설비를 보유한 발전사업자에게 총 발전량의 일정량 이상을 신재생에너지(소화가스, 태양광, 연료전지 등)로 생산한 전력을 공급토록 의무화
권기욱 서울시물관리정책관은 “최근 전력난이 가중되는 국가적 상황에서 신재생에너지인 소화가스를 이용한 전기 생산이 전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이다”며, “그동안 혐오시설로만 인식되던 서남물재생센터가 소화가스를 이용한 차량연료화시설, 열병합 발전시설, 태양광발전 시설을 갖추게 됨으로써 신재생에너지 복합 센터로 변모할 전망이다”고 말했다.
'국내외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산, 국내 최대 시민 태양광발전소 건설 (0) | 2013.01.08 |
---|---|
전기차 발목 잡는 도로 제한속도… 영광군 시범적으로 낮춰 (0) | 2013.01.08 |
“작다고 무시하지마. 시장은 우리가 먼저 접수한다” (1) | 2013.01.08 |
창원시, 전국 최대규모 ‘민자 태양광발전소 건설’ 협약 체결 (0) | 2012.07.24 |
중국 분진 제거 장비 시장, 환경 규제 강화로 연간 19.3% 급성장 (0) | 2012.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