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7

« 2025/7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포스코ICT(사장 최두환)가 에너지 소비량이 많은 기업들의 에너지 효율 시스템 구축과 전력수요(DR) 관리 서비스를 함께 제공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포스코ICT는 이달부터 국내 최대 합금철(페로망간;FeMn, 실리콘망간;SiMn) 생산기업인 동부메탈의 에너지 효율화 사업에 착수했다. 


동부메탈은 전기로에서 합금철을 생산해 전기요금이 원가의 3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에너지 소비량이 많은 회사다. 포스코ICT는 동부메탈에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해 에너지효율이 높은 설비를 공급하는 한편, 에너지 흐름을 모니터링하고 사용을 최적화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다. 포스코ICT는 내년 하반기까지 추진되는 1차 사업에 약 60억 원을 투자하고, 추후 에너지 절감비용으로 투자비용을 상환받게 된다.


동부메탈은 포스코ICT로부터 전력수요(DR; Demand Response) 관리 서비스도 받을 예정이다. DR관리 서비스는 전력 부족사태를 대비해 전력거래소가 수요처에 감축 요청을 하면 약정한 전력량에 따라 정산금을 돌려받는 서비스다. 동부메탈의 경우 50MW규모의 전력감축을 약정해 연간 20억 원의 정산금을 돌려받게 되는데, 이때 얻은 수익금도 에너지 효율화 사업 재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포스코ICT는 자동차부품용 주물소재와 쇼트볼을 생산하는 기업인 성호금속에게도 같은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성호금속은 에너지 효율화를 도입해 연간 5억의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고, DR서비스를 통해 매년 4억원의 정산금을 돌려받게 된다. 에너지 효율화 도입 시 필요한 투자금액 15억원은 여기서 충당할 수 있다.


회사 관계자는 "그동안 기업들이 에너지 효율화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초기 투자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사업추진이 더디게 진행된 면이 있다. DR관리 서비스와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동시에 추진함으로써 기대되는 에너지 비용 절감액을 사업에 활용하는 모델로 초기 투자비에 대한 부담을 해소할 수 있어 해당 서비스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포스코ICT, 초기 투자비 없는 '에너지 효율화 사업' 인기
:
Posted by 매실총각

대한전선(대표집행임원 최진용)은 4분기에 미국에서 수주한 프로젝트의 규모가 총 1억 불을 돌파했다고 지난달 3일 밝혔다. 2000년에 대한전선이 미국에 진출한 이래 최대 규모의 실적이다.


11월 3일에 수주한 프로젝트는 LADWP(Los Angeles Department of Water & Power : LA수도전력국)가 발주한 것으로, 총 수주 금액이 5,600만 불(650억 원)에 달한다. 이 프로젝트는 LADWP가 1960~70년대에 설치하여 운용중인 노후화된 138kV급 초고압 지중 케이블 일체를 전면 교체하는 것으로, 대한전선은 케이블과 접속기기를 공급하고 접속공사까지 실시한다.

특히 이번 프로젝트는 기존의 관로와 설비를 그대로 유지하고 케이블을 교체해야 하는 등 제한이 많아 대한전선의 시공 실적과 노하우가 높이 평가 받았다.


10월에는 캘리포니아 지역의 전력회사로부터 5,200만 불(600억 원) 규모의 프로젝트도 수주했다. 전체 시공 구간이 20km에 육박하는 대형 프로젝트로, 대한전선은 230kV 초고압 지중 케이블과 접속기기 등 장비 일체를 공급하고 시공 및 테스트까지 시행한다.


이에 앞서 3분기에는 캘리포니아 지역의 전력회사와 향후 5년 동안 69~230kV까지의 초고압 지중 케이블을 공급하는 내용의 계약도 체결했다. 이 계약에는 2년 연장 조건이 포함되어 있어, 최장 7년까지 안정적으로 케이블을 공급할 수 있다.


대한전선은 지중 케이블 외에 증용량 가공선(架空線) 수주에도 성공했다. SCE(Southern California Edison : 남가주 에디슨 전력회사)가 발주한 프로젝트로, 노후화된 기존 가공선을 교체하기 위해 증용량 가공선인 ACCC 제품을 공급하는 것이다. 증용량 가공선은 기존 가공선에 비해 전선의 무게와 저항을 줄이고 송전용량을 높인 것으로, 미국 지역 내의 노후화된 가공송전망의 교체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향후 지속적인 매출이 기대된다.

 

대한전선은 미국 지역에서의 선전의 배경이 지사와 법인 등 현지 네트워크를 구축해 잠재적 고객을 대상으로 대한전선의 기술과 품질에 대해 적극적으로 마케팅한 결과라며, 미국뿐만 아니라 캐나다에까지 영업력을 확대해 북미 지역 전반에 걸쳐 매출을 끌어올리겠다고 말했다.


더불어 주력 제품인 초고압 지중 케이블 외에도 증용량 가공선, 중저압 등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해 수익성을 개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미국 케이블 시장에서 대한전선의 수주 상승세 가속화
:
Posted by 매실총각


전세계 열화상 카메라 시장점유율 1위인 열화상 전문기업 플리어시스템 코리아(FLIR Systems Korea, 한국 대표: 앤드류 칼톤 타이크)는 11월 2일(수)부터 4일(금)까지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빅스포 2016(BIXPO 2016, 빛가람 전력기술 엑스포)’에 참가하여 전시회 참관객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고 밝혔다.

한국전력공사(KEPCO) 주최로 올해 2회째를 맞는 이 행사에 플리어는 올해 처음으로 참가하여 FLIR GF306, GF343, T660, E60, C2 등 전기, 전력, 에너지 및 화학 산업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열화상카메라 제품들을 선보였다.


이번 전시회에서 참관객들은 가스 검출에 특화한 FLIR GF306, GF343 적외선 카메라에 대해 특히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플리어의 가스 검출용 적외선 카메라는 전세계 많은 석유화학 및 정유 산업시설에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의 누출 사고 예방 점검 및 누출 부위 수리를 위한 장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FLIR GF306은 고압 전기제품에서 절연가스로 사용되는 SF6의 누출을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해 낸다. SF6는 누출될 경우, 현재는 물론 다음 세대의 환경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전세계 전력회사들이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는 가스이다. GF306 카메라는 고전압 설비의 가동을 정지하지 않고도 가스 누출 검사가 가능하며, 먼 거리에서도 검사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이와 함께 FLIR GF343은 이산화탄소 검출에 적합하다.



전기전력 및 에너지 관련 산업 분야에서의 열화상카메라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은 이번 전시회에서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저렴한 가격과 휴대성, 간단한 사용법이 특징인 FLIR C2 열화상카메라부터 플리어 고유의 MSX 기술이 적용되어 전기 및 기계 설비의 설치와 검사, 예방정비 계획 수립 등에 적합한 FLIR E60 휴대형 열화상카메라, 울트라맥스(UltraMax™) 기능을 통해 카메라의 적외선 분해능과 감도를 대폭 향상시킨 FLIR T660 고급 열화상카메라는 전시회 기간 내내 부스 방문객들의 주요 관심사였다. 또한, 산업용 설비 및 건물 진단용으로 HD(High-Definition) 화질을 제공하는 프리미엄급 열화상카메라인 FLIR T1040은 제품 전시가 되지 않았음에도 이에 대한 문의가 이어지는 등 전반적으로 열화상카메라에 대한 부스 방문객들의 관심은 매우 높았다. 


플리어시스템 코리아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 참가를 통해 전력 및 에너지 관련 분야에서 플리어 열화상카메라에 대한 많은 관심과 수요를 확인할 수 있어 매우 뜻 깊게 생각한다”며, “2017년 행사에도 참가하여 플리어의 혁신 기술과 제품을 널리 알리고 광주 빛가람 에너지밸리 고객들에 대한 지원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플리어의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전시회, 세미나 관련 자료는 홈페이지(http://www.flirkorea.com/)나 블로그(http://blog.naver.com/flirsystem)에서 확인 및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플리어시스템, 빅스포 2016서 전력산업 관련 다양한 열화상카메라 소개
:
Posted by 매실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