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

« 2025/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신기현 교수 연구팀이 적외선 광소결 기법을 이용하여 기존 롤투롤 그라비어 공정에서 은(銀)전극의 전도성을 급격하게 향상시키는 기술을 구현했다.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학과 신기현 교수 연구팀(유연디스플레이연속공정연구소)이 적외선 광소결 기법을 이용하여 기존 롤투롤(Roll to Roll) 그라비어 공정에서 은(銀)전극의 전도성을 급격하게 향상시키는 기술을 구현해 인쇄전자 산업 기술에 적극 활용될 수 있게 됐다.


이번 연구는 건국대가 2012년부터 2016년까지 독일 캠니츠공과대학(Chemnitz University of Technology)과 함께 수행하고 있는 한-독 대학 간 연계프로그램(과학기술국제화사업, 미래창조과학부 지원)의 주요 성과다.


이번 연구결과는 신기현 교수 연구팀과 캠니츠공과대학의 바우먼(R.R. Baumann) 교수 연구 그룹의 강현규 박사(건국대 96학번)가 저자로 참여해 네이처 퍼블리싱 그룹(Nature Publishing Group)이 발간하는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와 영국왕립화학회(Royal Society of Chemistry)에서 발간하는 저널 오브 머터리얼즈 케미스트리(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C)에 각각 2016년 10월 7일과 9월 19일자로 게재됐다.


기존 인쇄 전극 소결 기술은 열풍, 적외선, 광펄스, 자외선, 레이저 등의 공정을 이용해 전기전도성을 향상시켜왔으며 이번 연구에서는 이 기술 중 가격 및 효율 관점으로 유용한 적외선 모듈을 적용하여 기존 롤투롤 그라비어 인쇄 공정에 적용해 수십 분이 소요되는 공정을 10초 이내로 단축시켰다.


건국대 연구팀은 은 파티클의 종류에 따라 적외선 에너지가 미치는 영향을 광 에너지 관점의 이론적 접근 및 실험계획법 기반의 통계적 기법을 활용해 분석했으며, 적용된 소결 공정이 필름을 기반으로 하는 롤투롤 공정에 적용되었을 때 발생하는 웹의 장력 변화와의 관계성을 규명했다.


또 적용된 적외선 장비의 효용성은 기존 롤투롤 기반 공정과 비교했을 때 소결 시간, 소결 성능, 그리고 양산 관점에서 매우 우수한 결과임을 확인했다.


건국대학교와 독일 캠니츠공과대학은 최근 10여 년 동안 매년 단기 연구원 교류, 국제 공동 세미나, 국제 학술활동, 박사후연구원 파견 등을 수행했으며 롤투롤 기술 및 인쇄 전자 분야에서 글로벌 파트너로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해왔다.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건국대 신기현 교수팀, 롤투롤 고속 광소결 공정기술 개발
:
Posted by 매실총각

거품기와 꽃 모양을 나타내는 주석이 박힌 실리콘 산화물의 성장 메커니즘 개략도 및 각각의 전자현미경 (사진. 건국대학교)


건국대학교 기계설계학과 진창현 교수(제1저자, KU연구전임)와 이동진 교수(교신저자) 연구팀은 주석 산화물 박막을 이용해 거품기와 꽃 모양의 독특한 형태를 지니고 가시광선 전 범위에서 발광특성을 가진 3차원 실리콘 산화물 마이크로/나노 구조를 합성하는데 성공했다.
3차원 꽃 모양의 실리콘 산화물의 발광특성 내용을 담은 이번 연구 논문은 세계적인 과학저널 네이처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온라인 판 8월 1일 자에 게재됐다.


기존 파우더의 기체 상(狀)을 이용한 마이크로/나노 구조의 합성 방법은 실험방법이 비교적 간단하고 다양한 물질을 합성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소스 파우더가 주입되는 가스의 영향으로 쉽게 비산될 뿐만 아니라 대부분이 기판에 고정된 촉매로 제한되기 때문에 그 형태가 저차원(0, 1차원)에 한정됐다. 게다가 최종 생성물이 촉매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순도를 저하시키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촉매를 제거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건국대 이동진 교수 연구팀은 소스 파우더와 촉매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 고온에서 열분해 되는 주석 산화물을 활용한 새로운 가스 기반 공정으로 기판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거품기와 꽃 형태의 3차원 구조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건국대 연구팀이 개발한 새로운 3차원 실리콘 산화물 구조에서는 기판 전체에 골고루 주입되는 주석 입자들이 실리콘 기판의 녹는점 온도를 낮출 뿐만 아니라 실리콘 산화물 내부에도 계속적으로 침투하여 촉매제의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침투한 결정질의 작은 주석 입자들이 제 2상의 계층적 나노 구조 성장을 돕고 다양한 발광 특성을 나타나게 한다. 특히 주석 입자들이 침투하는 과정과 넓은 파장대별 발광 현상을 직접 동영상으로 구현함으로써 연구결과에 대한 객관성을 확보하는데 성공했다.


이러한 기체상을 이용한 새로운 합성 방법은 기판과 열분해 되는 금속 산화물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크기/모양/색깔을 나타내는 3차원 발광소자 구현이 가능하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진창현 교수는 “간단하지만 강력한 실험 방법인 만큼 앞으로도 다양한 재료와 공정 변수를 도입함으로써 많은 재미있는 현상들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며 “후속 연구를 통해 다단계의 공정 없이 기능성이 부여된 3차원의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상당한 원가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건국대 이동진 교수팀, 실리콘 산화물 기판 기술 공개
:
Posted by 매실총각

건국대 도서관옥상 탱양광.jpg

 

 

건국대, 도서관 옥상에 100kW급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

 

건국대(총장 송희영)는 저탄소 녹색성장 시대 친환경 캠퍼스 조성을 위해 교내 상허기념도서관 옥상에 100kW급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 생산된 전기를 상업용으로 판매하는 사업을 시범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건국대는 지난해부터 온실가스 감축 등 친환경 녹색성장을 위해 교내 친환경 에너지 설비 설치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학교 부지가 태양광 발전에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서울캠퍼스 50여 개 건물의 사전 조사를 거쳐 이번에 상허기념도서관 옥상 2,700m2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해 시범 사업을 시작했다.

지난 4월부터 시작한 태양광 발전 설비 공사는 8월 말 마무리돼 운영 중이다. 서울 소재 대학 가운데 자체적으로 판매용 태양광 발전 사업을 진행하는 대학은 건국대가 처음이다.

이번에 설치된 발전설비의 규모는 100kW급으로 연간 약 14만kWh의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

태양광 발전으로 만들어진 전기는 한국전력과 한국전력 13개 자회사에 판매된다. 이를 통해 연간 4,800만원의 판매 수익이 기대되며 5년 후면 설비투자에 따른 손익분기점을 넘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번 사업으로 발생하는 수익은 설비 확충, 학교 시설 개선 등에 이용될 예정이다.

이렇게 생산한 전기는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s)’ 사업에 따라 한국전력 등에 판매하고 있다. RPS사업은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RPS)에 따라 일정 규모의 발전사업자에게 신재생에너지 공급을 의무화하는 제도로서, 이를 이용해 태양광 발전으로 생산한 전기를 발전사업자에게 판매하는 사업이다. 건국대는 지난 5월 서울시로부터 발전사업허가를 받은 데 이어 지난달 에너지관리공단으로부터 RPS 설비 확인을 받는 등 전기 판매 자격을 갖췄다.

건국대 이병우 관재처장은 “연내 착공 예정인 부동산학관에 100kW급과 신공학관에 500kW급 태양광 발전 설비를 설치할 계획”이라며 “궁극적으로 교내에 1,500kW급 친환경 에너지 설비를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건국대는 이미 2006년부터 생명환경과학대학 옥상과 이천 스포츠과학센터 등 2곳에 태양광 발전 설비를 설치해 연간 13만5,729kW의 전기를 생산하고 있다.

이들 태양광 발전시스템으로부터 생산되는 하루 평균 295kWh의 전력으로 실제 생명환경과학대 건물에 사용되는 전기 일부를 공급하고 있으며, 이천 스포츠과학센터의 선수 숙소 등의 전력수요에도 충당하고 있다.

<출처: 건국대학교>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건국대, 도서관 옥상에 100kW급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
:
Posted by 매실총각





- 초전도체분야 미국 일본 이어 3번째,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승인 차세대 이동통신 통화품질 개선과 전자파 감소 위한 초전도체 필터 성능 향상 및 품질관리 기술 
- ‘초전도체 박막의 마이크로파 고유표면 임피던스 특성 측정법’
건국대는 물리학부 이상영 교수(물리학전공, 차세대무선전원센터장)와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이상근 박사 연구팀이 차세대 이동통신의 통화품질 개선과 전자파 감소를 위한 핵심 기술인 초전도체 박막의 표면저항 측정 기술로 초전도체 분야에서 한국 최초로 국제표준 등재에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이 교수팀이 국제표준으로 등재한 기술은 ‘초전도체 박막의 마이크로파 고유표면 임피던스 특성 측정법’ (Electronic characteristic measurements –Intrinsic surface impedance of superconductor films at microwave frequencies)으로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에 의해 최근 국제표준으로 공식 승인돼 등재됐다. 

이 교수팀은 2005년 관련 기술에 관한 연구결과를 국제학술 저널인 IEEE(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지에 발표한 바 있는데, 본 표준안은 2008년 2월 국제전기기술위원회에서 국제표준 신규제안으로 승인된 후 3년 7개월 동안 미국, 일본, 중국, 독일, 러시아 등이 포함된 각국 표준위원회의 전문가들의 검토와 회원국들에 의한 실험, 3차례의 회원국 투표와 2010년 표준기술력향상사업(지식경제부)을 통해 최종본(FDIS)이 완성되었으며 지난 2011년 9월 16일 IEC 회원국 100%의 찬성으로 국제표준으로서 최종 승인된 후 10월 말 IEC 국제표준으로 등재돼 출판됐다. 

이 교수팀이 개발한 초전도체 박막의 고주파 고유표면 임피던스 측정 기술은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인 고온초전도체 필터의 성능 향상 및 품질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면서 동시에 초전도체의 중요한 기본 물성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특히 고온초전도체 필터 기술은 휴대전화와 같은 이동통신의 획기적인 통화품질 개선과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첨단기술로 미국과 중국에서 이미 상용화 된 바 있다. 이번 국제표준은 금속 박막 두께의 비파괴적 측정 기술로도 응용될 수 있으며 이 교수 연구팀은 이와 관련한 미국 특허를 2009년 획득했다. 

이번 국제표준은 초전도체 분야의 국제표준으로는 한국에서 최초로 등재에 성공한 것으로 초전도체 분야에서 전세계적으로 15번째 국제표준이다. 이로서 한국은 일본, 미국에 이어서 초전도 분야의 국제표준을 등재한 세 번째 국가가 됐다. 특히 이번에 등재된 표준안은 이상영 교수 연구팀이 2005년 국제적 저명 학술지인 IEEE 저널에 발표한 독창적인 연구 결과에 바탕을 둔 것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참여 연구팀: 
이번 국제표준은 IEC의 convener이기도 한 이상영 교수가 프로젝트 리더로서 제안하고 등재된 것으로서, 건국대에서는 당시 본교의 박사 연구원으로 있던 이재훈 박사(현 ㈜서남 수석연구원)와 기술표준원의 이상근 박사(현 기술표준원 수석연구관)가 공동으로 제안하였으며 현재 본교의 박사과정에 있는 정호상 연구원이 최종 표준안의 준비에 참여하였다. 또한 2005년도 IEEE 저널에 발표되고 본 국제표준의 토대가 된 연구 내용은 본 연구팀이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원(NIST)의 연구팀과 공동으로 수행한 연구의 결과이다. 이상영 교수는 IEC에서 convener 및 본 국제표준의 프로젝트 리더로서 기여한 것에 대해 2009년에 IEC가 수여하는 IEC 1906 어워드를 수상한 바 있다.

:
Posted by 매실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