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

« 2025/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발전기와 변압기는 완전 별개로 인지해야...




Q. n 상은 대지전위와 평형을 이루기 때문에 감전이 안 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며칠 전에 등기구 교체 작업 중에 스위치를 내리고 혹시나 스위치에 하트 상이 아닌 n 상으로 결선하면 스위치를 내려도 전기가 살아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검전기로 한번 더 체크하였습니다. 그리고 등기구 교체하면서 조인하다가 찌릿찌릿 n 상측은 등공통이고 작업하는 등기구는 스위치 Off 스위치 내려도 n 상은 등공통이라 다른 등기구에 전원공급 중이였습니다.

제가 예전부터 느끼던 것은 부하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n 상을 만지면 감전이 안 되지만 부하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n 상측 전선을 만지면 전기가 올 거 라고 생각이 들어서요.



A. 전원 측의 중성점은 2종 접지가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중성선은 부하 쪽으로 다른 R, S, T상과 같이 가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불평형 전류는 중성선을 통하여 변압기로 귀환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중성선도 전력선이라 합니다.

단 변압기 중성점에서 접지와 중성선이 같이 연결 Common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중성선 전류는 부하를 거쳐서 변압기 중성점으로 되돌아오는 전력선이고 접지는 평상시에 회로가 없어 전류가 흐르지 않고 대지와 같은 전위로 0 전위를 유지합니다.

중성선의 저항은 기본적으로 전력선 1선과 같은 굵기의 전선을 사용하므로 저항이 매우 적고 정상적으로 중성점에 연결이 되어 있을 경우는 크게 대지 전압과 전압  차가 생기지 않습니다. 하지만 어떤 원인에 의하여 중성선의 저항이 커지거나 단선 시는 매우 위험 합니다. 이때는 부하 측 중성선이 대지와 전압이 걸려 있기 때문에 대지와 절연이 안된 상태라면 중성선을 만져도 감전현상이 올 수 있습니다. 





Q. 1. 신발을 신고 어디에 닿지 않은 상태에서 상을 만지면 전기가 통합니까?

2. N 상이 공통이라고 들었는데 상과 N 선을 동시에 만지면 감전되나요?

3. 전기공사관련 질문인데요, 선의 굵기를 정하는 이유가 머줘 ? 

4. 전기공사할때 도면 볼 줄 알고 도면보고 할 줄 알고 빠르게 정확하게 하면 전공됩니까? 



A. 1. 감전이 될 수도 있고,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인체의 저항이 평상시 5,000옴 정도라고 합니다. (의류, 신발 등 착용시), 물에 젖거나, 땀을 흘릴 경우, 인체 저항 값은 급격히 감소됩니다. 만약 신발의 저항이 무한대의 값을 가지고 있고, 저압 Hot Line 한 상만 접촉시, 감전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전압이 높아진다고 하면, 대지와 절연이 되었다고 하지만, 정전용량이 형성되게 됩니다. 즉 전압이 많이 높아지게 되면, 식에 의해서 정전용량에 의한 계산 값 만큼의 전류가 흐르게 되어, 감전될 수도 있습니다.

(콘덴서를 생각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두개의 전극 사이에 유전체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2. 감전됩니다.! 폐회로가 구성이 되어, 바로 감전됩니다. KCL을 생각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3. 다 똑같은 전선인데 굵은 거 쓸 때도 있고 얇은거 쓸 때도 있고 전선의 굵기에 따라서 허용전류가 달라집니다. 전선의 굵기가 굵게 되면, 그만큼 많은 전류를 흘릴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감압변압기를 살펴보시면 1차 측 Cable은 굵기가 2차 측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가늘고 2차 측 Cable은 1차 측 Cable에 비해 상대적으로 굵다는 것을 관찰하실 수 있을 겁니다. 그 이유는 2차 측이 전압은 낮아졌지만, 전류는 그만큼 더 많이 흐른다는 이야기죠. 그리고 이 허용전류가 상당히 중요한데, 1[A] = 1[c/s]입니다. 그리고 1[c/s] = 1[j/s] = 0.24[cal/s] 가 됩니다. 

즉, 허용전류가 올라가면 발열이 생긴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즉 간단하게 생각하시면, 열이 많이 발생하면 선이 녹아버릴 수도 있으니까, 발열에 대한 영향을 덜 받기 위해서 더 많은 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게 전선이 굵어지는 겁니다.

4. 전기업종에 근무하고는 있지만, 전기공사 관련 업무는 부족하여 뭐라 말씀드리기가 힘들지만, 시공이든 설계든 도면이 기초가 됩니다. 무언의 약속이라고 볼 수 있는거죠. 즉 도면을 볼 줄 모르면, 단순 작업(케이블 터미네이션 등 제외) 시공도 할 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Q. 변압기가 22900/770V를 사용하고 1750kVA입니다. 고주파열처리로 이용하여 쇠를 녹여 제품을 만드는데 현재 변압기 2차 측 전압이 745V고 2번 탭에 놓여져 있습니다. 

탭을 3번부터 5번까지 올려볼려고 하는데 만일 탭을 높였을 때 변압기 용량에서 출력이 저하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앞에 있던 전기기사와 공사업체의견으로는 변압기 탭을 올리면 출력이 오히려 줄어든다고 합니다. 이게 맞는 소리인지 궁금합니다



A. 변압기 TAP은 일반적인 경우, 1차(고압) 정격전압의 ±5% 범위 내에서 정격 탭을 포함하여 5개의 탭 전압(1번 23.9kV, 2번 22.9kV, 3번 21.9kV, 4번 20.9kV, 5번 19.9kV)을 두고 설치되며 3~5번까지 올리면 2차측 전압 745v는 780V, 815V, 850V가 됩니다. 전압이 상기와 같이 올라가므로 출력이 커져 과부하 등에 대하여 검토가 필요합니다.





Q. 정전 시 비상발전기가 자동모드에서 운전하지 않아 수동으로 운전시킨 후 한전 전압이 복귀된 후 상용전원으로 복전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예를 들어 발전기의 ACB를 가장 먼저 차단한 후 발전기의 기동을 완전히 정지시킨 후 VCB를 투입해야 하는건지? 아니면 비상발전기의 자동모드 운전시처럼 발전기의 ACB를 개방하지 않고, 발전기를 정지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VCB를 투입하면 되는 건지? 어떤 방법으로 상용전원으로 복전하는 건지 알려주세요.



A. 한전전압이 복귀된 후 상용전원으로 복전하는 방법은 먼저 VCB를 On 시키고 ACB(ACB가 UVR로 TRIP이 되었있을경우)를 투입시키면 자동으로 ATS는 한전 전원 쪽으로 절체가 됩니다. 한전 전원이 공급이 되면 발전기는 자동으로 되어 있었으면 자동으로 Stop이 될 것이고 수동으로 운전하였었다면 수동으로 Off 시켜야 합니다. 전원 투입은 전원 측부터 하는 것으로 VCB 그다음 ACB입니다.





Q. 인버터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시킬 경우에 모터용량보다 인버터 용량이 한 단계 더 클 경우에 차단기 선정 기준을 인버터 용량으로 하나요? 아니면 모터 용량으로 하나요?

그리고 저의 회사 도면에 보면 순서가 MCCB - N/F(노이즈필터) - 리액터 - 인버터 - 모터 이렇게 되어 있던데 노이즈필터랑 리액터의 위치는 현재 도면 순서가 좋은가요? 아니면 리액터 다음에 노이즈 필터를 설치하는게 좋은가요?



A. 차단기는 인버터를 기준으로 합니다. 그리고 인버터는 기동전류가 직입기동의 1/4 정도 밖에 안됩니다. 고로 인버터 차단기는 Motor 정격전류의 1.5배 정도이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차단기는 Motor를 보호하지 못합니다. Motor의 보호는 Inverter와 Motor 사이에 Thermal을 설치하여 보호합니다. Filter와 Reactor의 배치는 MCCB 바로 Filter를 설치 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다음은 인버터 관련자료에서 발췌했습니다. 인버터 운전에서는 모터의 가속에 맞추어 주파수와 전압을 올리므로 기동전류는 150%(최고 200%) 이하로 제한됩니다. 상용전원에서의 직입기동으로 모터 정격전류의 6~7배의 기동전류가 흐르는 것에 비해 인버터 구동으로 원활한 기동이 가능하게 됩니다. 기동 토크는 150% 이상으로 전부하 그대로도 기동 가능합니다. 





Q. 변압기 4대에 변압기와 변압기 사이에 ACB TIE가 설치되어있습니다. 첫 출근한 직장이라 메뉴얼 보다가 한대의 변압기가 고장이나면 발전기 기동 후 부하 측 중요한 부부만 제어 후 ACB TIE로 이상 없는 변압기로부터 절체하라고 되어 있는데 발전기와 ACB TIE는 같이 투입되는 건가요? 아님 발전기를 먼저 돌린 후 ACB TIE를 수동으로 절체 후 발전기는 정지 시키는 건지?



A. TIE ACB는 일반 정전 시 TIE시키지 않고 즉시 복구되지 않는 변압기 고장사고 시에 TIE를 시키는 것입니다. 그리고 발전기와 변압기는 완전 별개입니다. 발전기는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것이기 때문에 무조건 정전이 되면 비상기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주어야 하고 TIE는 변압기 고장으로 전원을 공급 할 수 없을 때 고장이 난 변압기를 대신하여 이상이 없는 변압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입니다. TIE시 주의할 점은 1대의 변압기로 두 Feeder 부하용량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지를 필히 확인하여야 합니다.





Q. 460v 3상 3선식 110kW Motor 와이델타 기동 시 MCC 차단기가 TRIP 됩니다. 차단기 용량은 배선용 225A 65KA인데 와이기동할때 Timer를 6초에 맞혀놓고 T초 후 델타로 운전되는 순간 차단기가 Trip 됩니다. 그런데 후크메타를 걸었을 때 와이운전 실전류는 50A 정도밖엔 안 됩니다.

델타로 넘어가는 순간 Trip 되네요. 또 이상한 건 타이머를 8초로 맞춰 운전하면 TRIP 없이 정상 가동이 됩니다. (무부하땐 시간관계 없이 Trip이 안됩니다.) 차단기 용량이 작은 것도 아니고 Motor 메가 저항 베어링 모두 이상이 없는데 도대체 이유를 모르겠네요.



A. Motor 메가, 저항, 무부하시에 이상이 없다는 전제하에 설명을 드립니다. Motor 부하중 GD가 큰 부하 Compreser, Blower & 원심분리기 등과 같이 부하의 회전체가 지름이 크고 길이가 길고 무거운 부하는 기동시간이 깁니다. 이런 부하는 일반 Pump와 같은 GD가 적은 부하에 비하여 많게는 5~10배 정도가 됩니다. 하여 기동 Time Setting이 Motor 기동시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어 그런 현상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결론입니다. Time Setting을 Y가 충분히 기동시키고 델타가 되도록 하세요. 6초에서 Trip이 되고 8초에서 Trip이 되지 않으면 그대로 8초에 Setting을 하시면 됩니다.





Q. 디서브에서 -신호가 나오는지 +신호가 나오는지 알아야 하는 상황인데요. 테스터기로 알 수 있는 방법이 정확히 뭔지 잘 모르겠어요.

제어반 만들 때 R상하고 S상하고 쇼트 났는지 체크해보라고 하는데요. 삐삐거리는 걸로만 해봤는데 모 저항을 보고 하는 방법도 있다고 하던데 어떤 방법이죠. 또 A/S 나갈 때 테스터기로 할 수 있는 좋은 방법 있으시면 좀 알려주세요.



A. DC 전압을 측정하는 것과 N 선을 찾는 방법은 Tester의 극성에 맞도록 P에 +를 N에 -를 하여 전압을 측정 하였을 때 나오는 값이 정상값입니다.

만약 측정값이 -로 나온다면 극성 표시를 잘못하였던지 무언가의 원인에 의하여 전압이 틀린 것입니다. 하지만 단락, Short의 유무는 Tester 저항값으로 측정 시 0옴에 가까이 나오면 단락입니다. 하지만 수옴~수십 옴 정도가 나오면 부하가 연결이 된 것입니다. (이것은 부하에 따라 저항값이 다르게 나옵니다.) 그리고 무한대라면 부하가 없거나 단선입니다.





Q. 다름이 아니라 이번에 전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22C, 28C와 같은 규격들이 계장에서 어떤 규격으로 표기가 되어 지는지 궁금합니다. 전기는 전선관 파이프가 22C, 28C, 36C 등등 크기가 다양하지만, 계장에서는 3/4″ 있고 1 1/2″ 도 있고 다양 하더라구요. 

정말 알고 싶은 건 전기에서 22C가 3/4″ 로 표기되는지 1 1/2″ 표기되는지 궁금합니다. 22C부터 104C까지 궁금합니다. 



A. KS 규격이 있으므로 22C, 28C.. 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계장에서 배선의 전선관은 KS 규격을 사용하고, 계장과 연결된 Air Line 등은 강관으로 Inch를 사용합니다.  16C(1/2″), 22C(3/4″), 28C(1″), 36C(1 1/4″), 42C(1 1/2″), 54C(2″), 70C(2 1/2″), 82C(3″), 92C(3 1/2″), 104C(4″) 





Q. 옥내에 고압케이블(CNCV.CNCO)을 케이블 덕트 안에 포설하려 합니다. 어느 전선을 포설하여야 바람직하나요



A. 케이블 트레이라면 FR-CN/CO-W를 사용하여야 하지만 밀폐된 케이블 덕트는 CN/CO-W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CN/CO-W를 트레이에 사용할 수 있지만, 조건이 난연성 도료를 뿌리고 난연성 도료의 성적서를 안전공사에 제출해야 합니다. 그냥 쉽게 트레이엔 난연성인 FR-CN/CO-W. 밀폐된 케이블 덕트에는 CN/CO-W입니다.





Q. SCR 동작 방법과 어떻게 활요 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인터넷에서 찾아봤는데, 어렵게 나와서 이해가 안되서요, 쉽게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A. SCR을 이해 하려면 먼저 반도체에 대한 이해가 필요 합니다. 반도체는 4가원소를 가진 Si(실리콘)와Ge(게르마늄)같은 물질에 불순물을 섞어 극성이 P형(정공)이나  N형(전자)성질을 가지도록 한것 입니다. 

P형 반도체는 정공(+)이라는 케리어가 존제하고 N형 반도체는 전자(-)라는케리어가 존재 한다고 합니다. 다이오드는 여기에서 P형과 N형 반도체를 접합하여 만든것 이고 P극에다 +를 N극에다가 -의 전압을 가하면 정공은 -로 전자는 +로 가면서 전류가 흐르는데 이것을 순 방향이라 합니다. 

반대로 P극에다 -를 N극에다가 +의 전압을 가하면 정공은 -로 전자는 +로 밀리면서 반도체 중간에는 공ㅍ현상이 발생하여 전류가 흐르지 못하는데 이것을 역방향이라 합니다.   

SCR : Silicon Controller Rectifier 이라고 합니다. 

SCR은 4(P-N-P-N)소자 3단자 [P(에노우드) - N - P(게이트) - N(케소오드)]로 되어 다이오드와 마찬가지로  P(에노우드) - N(케소오드)간에  에노오드에 + 케소오드에 -를 걸고 게이트에 +를 가하여 주면 SCR이 Turn On이되어 케이트를 떼어도 전류가 흐릅니다.

해서 SCR은 Turn On되는것을 이용 정류도 할수 있고 Control하면 위상제어를 할수 있어 전력을 제어 할 수있습니다. 

:
Posted by 매실총각

전압 높으면 전선의 굵기는 상대적 적어져야

 



 

 

 

Q. 안녕하세요자동역률조정기(APFR) 점검중 VCB 트립 발생되었습니다역률이 떨어져서 자동 역률조정기 APFR 이의 Power Reset 위해 PT단자를 취외하는 순간 6.6KV Incoming VCB 51G  27계전기 동작으로 Trip 되었습니다. APFR 모델은BELUK회사 제품이며 RESRT 위해서는 단자를 취외할수 밖에 없는 모델입니다저의 개인적인 생각은 PT단자를 취외하는 순간 CT  상이 오픈되어 결상이  경우 같습니다정확한 원인을 알고 싶으니 고수님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A. 당연히 Trip 됩니다. APFR 전압 & 전류 그러니까 PT & CT에서 Source 받아 동작합니다. 51G CT에서 APFR 같이Loope 구성되어 있습니다 직렬 Series 되어 있지요그런데 CT Line 단선되면 영상전류  불평형 전류가 흐르는(잔류전류) Line으로 전류가 흘러 지락으로 인지 Trip  것입니다. 27계전기는 System구성시 같은 PT에서 사용하면서 APFR보다후단에 설치되었을 경우 동작이 됩니다해서 수전반의 CT & PT 관련된 작업을 할때는 필히 계전기관련을 검토하고 CTT & PTT 안전하게 조치를  다음 하여야 합니다본인도 지난일이지만 VCB Trip 시킨적이 있습니다.

 

 

 

Q. 기존에 인버터로 모터 구동을 하고 있는데요추가로 볼륨저항을 달아 주파수 제어로 속도제어를 할려고 하는데요인버터 결선법 알려주세요. VR + V1 + CM 어떻게 결선하면 외부볼륨으로 모터 속도조정 하는게 되는지요고수님들 부탁드려요p1 cm 다시 결선을 해주어야 하나요파라메타는 어떤  바꾸어 주어야 하나요?

 

A.  번째 질문은 저항 1~5 KΩ. 0.5w 이상 쓰시고 VR.V1.CM  연결 하신 다음  드라이브그룹 Frq 값을 3으로 하십시오 번째 질문은 인버터에 장착된 터치패드로 ON/OFF 하시면 CM-P1 결선하실 필요 없습니다만약 외부에서 스위치로 ON/OFF 하시려면 CM-P1 스위치 접점을 연결 하시고 드라이브그룹 Drv 값을 1 하십시오.

 

 

Q. 전기 완전초보입니다저희 건물 지하층에 전등라인 누전차단기가 트립되어서 복귀가 안됩니다전등라인이 있는 장소는 수족관 여과설비가 되어 있는 관계로 상당히 습합니다그래서 제습기(40L용량) 설치하여 하루동안 가동하고 나니 차단기가 다시 복귀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전등라인이 있는 곳에서 스위치로 전등을 끄고 다시 켜보니 켜지지가 않습니다분전함을 확인하니 차단기가 또다시 떨어져있었습니다.  차단기를 다시 복귀시켜보니 복귀되지 않고 계속 트립됩니다스위치를 켜놓고 차단기를 올리면 차단기가 올라갑니다그런데 스위치를 다시 끄면 차단기는 떨어집니다누전체크를 해봐야 되는건지어떻게 누전 체크를 하는지 상세히 설명 해주십시오.

 

A. 누전이란 정상적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고 비정상적으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말합니다 접지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말합니다전류가 흐르려면 길이 만들어져야 흐릅니다접지로 전류가 흐를수 있도록 길이 만들어졌다는 것입니다그것을 점검하는 것이 절연점검입니다이것은 정상인 회로와 접지간에 저항을 측정하여 확인을 합니다길이 아니어냐 하므로 저항으로 측정하면저항값이 매우 크게 나와야 합니다그런데 저항값이 적게 나오면 전류가 잘흐르도록 길이  났다는 것입니다측정기기는 절연Tester 측정하면 됩니다기본은 220V에서는 0.2 이상이면 됩니다현재 상태는 절연이 무진장 나쁜 상태입니다점검하여 수리하여야 합니다.

 

 

 

Q. 안녕하십니까 공사업에 뛰어든 사람입니다그런데 분명 자격증은 취득했으나차단기 용량 선정법이 기억나질 않네요책을 봐도 도통 무슨 얘기인지 모르겠구요.

1. 부하전류는 어떻게 구하는 거죠?

2. 누전차단기 용량 설정할때 누설전류값도 포함 시켜야 하는데 누설전류는 어떻게   ?

3. 용량은 어떤 공식에 의해 구해지는 겁니까.

 

A. 1. 부하기기에 적혀진 정격전류를 가지고 기본으로 하지만 없을 경우엔 부하용량을 가지고 계산을 합니다.

2. 누설전류는 차단과 관련이 있고 용량과는 상관이 없습니다.

3. 일반부하에서는 부하정격의 1.25 이상이 되도록 하면 됩니다그리고 Motor에서는 직입기동시 정격전류의 3배로 합니다.

 

 

Q. 총길이 6,000m 선로에 35sq/4c케이블로 380/220v 포설하여 1,000m간격으로 단상부하를(2kw) 5개소에 설치하고5,500m지점에 단상부하(5kw)1개소를 설치하여 운영 할려고 합니다전압강하가 만만치 않을  같아서  케이블 사이즈 변경없이장비들을 운영할  있느 방법이 없을까요배관은 이미 포설한 관계로 트랜스를 사용하려고 합니다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A. 거리가 만만치 않군요기본적으로 전압을 높이면 전선의 굵기는 상대적으로 전류가 비례하여 적어지므로 전압강하가 적어집니다부하가 2kW씩이라면 380/220v 공급시에 10A씩이 되겠네요. 2kW 부하가 1회로인지는 모르겠네요아무튼 거리가 멀어 10A라도 전압강하 무시 못하는 전류입니다상황으로 보아 이미 전선과 배관은  상태 같습니다.

상기의 경우라면 낚시꾼은 여러 회로라면 Cable 허용한 전압으로 최대한 전압을 높여서 전압은 750/450V 3상으로 보내고 부하 Feeder  지점마다 만들고 거기에서 다시 Down TR 설치하면   같습니다.

 

 

 

Q. 에어컨 결선법 궁금합니다(부하측) RSTN 이렇게 차단기가 있네요선은 3C 2C, 에어컨 3상이 RST 물렸있고(3C) 나머지 두선(2C) 어디에 물려놓을지 모르겠습니다아마도 실외기 전원선 같은데 어디에 물려놓을지 모르겠습니다전에 한선은 n상에물려있다고 하더군요그래서 시험삼아 t상에 하나물리고 n상에 물려놓으니깐 바로 트립됩니다실외기 220v인것같고 압축기가380v 라고 적혀 있더군요그리고 N상에 2C 물려놓으니 에어컨이 작동되다가 실외기가 돌아가는 동시에 에어컨이 정지됩니다.제가 지식이  부족하여 질문하는데  어렵네요.

 

A. 3 에어컨 결선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일단 전원케이블은 분전함 차단기에서 실외기로(34 또는 33)가고 실외기에서 단상을 끌어서 실내기로 연결합니다.

1. 실외기 내에 트랜스가 있어서 380V 220V

  변환가능할 

  분전함 차단기(r, s, t) 33

    실외기(r, s, t) 단자 

    실외기내의 트랜스(r, s, t  아무거나 개를 트랜스에 연결)

    실내기(220V)

2. 실외기 내에 트랜스가 없을 

  분전함 차단기(r, s, t, n) 34

    실외기(r, s, t, n) 단자

    실내기(r, s, t  한선과 N) 220V

 

 

Q. 안녕하세요. C 릴레이와 H 릴레이의 에이징 테스트를 단시간에 처리해야  일이 생겼는데요. 50~92V 사이에서 접점과Coil 고장나는 시점을 테스트  보려합니다단시간에 에이징 테스트 하는 좋은 방법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A. 테스트를 테스트로 끝낼 것이면 님의 생각이 좋지만테스트결과를 제품사용의 자료로 사용할 것이면 적당한 방법이 아닙니다테스트의 결과에는 객관성이라는 것이 중요합니다객관성이 증명되려면 테스트 환경장비신뢰도방법이 시험규격대로 실행되어야 합니다궁금해서 개인적으로 해보시는 데는제한된 방법으로 특정한 환경을 전제로 해야 합니다.

에이징이란  그대로 시간의 흐름이 필요한 시험입니다단기간에 주위온도나 전압.전류만 맞춰 시험하면 릴레이 내부에 있는스프링이나접점주변의 금속피로도플라스틱 패키지의 변형이나 약화개폐횟수와 반복시간에 따른 접점표면의 변형 정도는 알수 없습니다이러한 요소는 굉장히 중요한 것들입니다릴레이를 정격전압에서 사용해도 작동불능이 되는 요소들이거든요따라서 제조업체에 질문서를 보내서 분석하는 것이 나름대로 최선이라고 생각합니다그래도 해보고 싶으시면 주위온도 60 정도 되는 환경을 만들어 접점최대 전류의 부하를 연결하고 SSR스위치로 /오프하고 시그널 발생기로 SSR구동신호를 가변적으로 주시면 어느정도의 결과물을 얻을  있습니다.

 

 

 

Q. 저희 아파트에는 유입변압기가 설치되어있습니다변압기에는 온도계가 설치 되어있구요매일 온도를 체크하는데 요즘46~48 정도 나오네요제가 궁금한건 절연파괴나 문제가 발생하지안게 하기위해 지켜야하는 온도한계점입니다보통 최고 허용온도나 권선온도상승한도로 계산한다고 하는데 저희 변압기에는  온도상승(50) 표시되어있습니다계산법도 모르겠고온도는 자꾸 올라가고 걱정입니다계산법이나 방법 부탁합니다.

 

A. 유입변압기 유온도는 50 권선온도55 입니다이건 JEC라는 일본규정이구요유입변압기는 통상적으로 A종절연물을 사용하기  유온도보다 5 높다고 보고 있고 여유 온도라 함은 권선의 안쪽과 바깥쪽이 온도가 같지 않으므로 10도의 여유를 주는겁니다.(안쪽코일이 열이 더날수 있으므로또한 이건 일반 호흡기타입이구요콘서베이터 타입은 밀봉타입이므로 유온도상승한계가 55도입니다.

하지만 근래는 JEC보다는 국제규정인 IEC 많이 쓰는데요. IEC 유온도 60 권선온도 65입니다같은 A종이라 하더라도 여유온도 10도를 쳐주지 않죠다시 설명하자면  온도상승한계는 60(권선온도상승한계는 65최대주위온도 40 지금 쓰고계시는 변압기의 온도계표시가 47도이므로 주위온도  변압기만의 유온은 47-25(주위온도) = 22

따라서 JEC규정으로 봤을때 28도의 여유가 있는 거네요변압기에 부착되어 있는 온도계의 지침이 90 이상을 지시하지 않으면변압기는 정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겁니다.

 

 

Q. 모터부하나, MOLD TR부하의 경우에 VCB 2차단에 Surge Absorbar Surge Arrester 설치하는데요.그렇다면 VCB 개폐서지의 방향은 전원측이 아니라부하측이라고 생각되어 지는데 이러한  생각이 맞는지 궁금합니다또한서지의 방향에 대해서 서술된 기술서나논문이 있으면 알려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A. 제가 답변드리고자  내용은 변압기 1차측 또는 VCB2차측 입니다.  제가 윗글에서 언급한것은 부하측을 VCB 2차측을 이야기  것입니다그러므로 SA설치는 변압기 1차측이 맞습니다이상전압은 변압기 또는 변압기 2차측(부하) 인덕턴스에 의해발생 하는 것입니다서지는 부하측으로부터 전원측으로 진행한다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변압기 1차측에 SA설치하는 이유는 VCB 차단할때 또는 트립될때 개폐서지가 발생하는것은 맞습니다그이유는 변압기 내부인덕턴스에 저장된 에너지가 어디론가 발산이 되어야 합니다 에너지가 발산되는 것이 임펄스 형태 전압입니다. e=-L×di/dt 에서 dt 무지하게 작고 di 부하전류 이므로 큰전류가 흐를 것입니다또한 L(인덕턴스)크고 그러면 e(이상전압) 커지게 됩니다. 차단기 차단시간이 짧으냐 기냐에 따라 이상전압은 달라지게 됩니다이것이 파라데이 전자유도법칙입니다변압기 절연물손상을 막기 위해 SA 설치하는 것이 아닙니다결론을 드리자면 차단기 트립차단시 부하측변압기 인덕턴스 에의해 저장된 에너지가 발산이 되어 임펄스전압으로 되어 전원측으로 진행하는 것을 막기위해 SA 변압기 1차측 VCB2차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Posted by 매실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