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

« 2025/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전력플랜트 시장 전망

 

ISIL 사태로 인한 전력 수급의 차질, 전력 공급과 수요의 고직적인 불균형 및 전력망에서의 전력 손실 등의 문제점들을 고려할 경우 이라크의 전력 플랜트, 설비 시장은 앞으로도 상당기간 확대 여지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이라크가 저유가와 ISIL 반군 대응으로 인해 전례 없는 재정난을 겪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경우, 이미 추진 중인 프로젝트를 제외하고 이라크 정부 재정을 활용한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는 앞으로 상당기간 나오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이다.

 

 

이라크 전력시장 향후 전개 방향

 

① 긴급 송배전망 확충

 

바빌주, 디얄라, 살라후딘주가 수복되고, 향후 조만간 정부군의 안바르, 니느와 주 탈환작전이 예상되는 가운데 이라크 정부는 파괴된 송배전망을 복구하는 데 일차적으로 재정 투입에 착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라크 전력부는 이미 살라후딘과 안바르 주에서 활용될 모바일 Substation 공급과 관련 국제입찰을 추진한다.
이에 따라 대용량 트랜스포머, 고압선, GIS 기기, 스위치 기어 등의 관련 기기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전망이다. 단, 이 송배전망 확충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데 있어서 이라크 정부는 지금까지의 국제입찰 대금지급 방법이었던 기성금 방식이 아닌 이연지급(Deferred Payment) 방식을 선정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또한 긴급한 송배전망 복구가 필요한 곳의 상당부분이 ISIL 반군과의 교전지역이거나, 재탈환을 끝낸 지점이라는 사실도 눈여겨봐야 할 부분이다. 단순한 ISIL 반군의 축출뿐만 아니라 안정화를 위해서는 상당한 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에도 불순분자 교란활동의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이라크.jpg

 

② Soft Loan을 통한 프로젝트 추진

 

올해 2월 일본의 국제협력기구(JICA)는 이라크 정부와의 차관협정을 체결했다. 그 주된 내용은 이라크 남부 바스라주 소재 하르타 발전소 복구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것이다.
총금액 202억 엔(1억 7,000만 달러 수준)에 달하는 이 차관은 발전소 내 4번 유닛(200㎿)을 복구하는 것으로, 성격상 비구속성 차관의 성격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결국 일본의 미쓰비시 히타치 파워시스템사(Mitsubish Hitachi Power Systems)가 공사를 수주했다. 일본의 경우 타당성 조사, 베이직 디자인 등에서 자국 기업이 진출하기 좋은 기술사양을 설정한다.
2018년 10월 완료를 계획 중인 이 프로젝트는 향후 당분간 발전사업에 자체재원을 투입하지 않는다는 이라크 정부의 방침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현재와 같이 이라크 정부가 대규모 재정적자에 처한 상황에서 이라크 진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조건은 차관 등 국가신용 동원가능 여부이다.
따라서 업계에서는 이와 같은 신용동원 능력이 있는 중국과 일본이 이라크 시장진출에 가장 유리하다고 보고 있다.

 

이라크표.jpg

③ 독립전력사업자(IPP) 모델 도입

 

이라크 정부는 2014년 말 750㎿ 규모의 사마와 복합화력 발전소를 BOO 방식으로 추진하기 위한 RFI 과정에 착수한다. 이라크 정부는 이를 통해 관심이 있는 업체들을 사전선정(PQ)함으로써 향후 RFP 과정을 통해 이 발전소를 건립하고 일정 기간(17년) 운영할 투자자를 선정한다는 복안이다. 이라크 정부는 당초 이 발전소 건립을 재정사업으로 추진하려는 복안을 갖고 있다가, 2014년 들어 이를 투자사업으로 전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다수의 경제평론가들은 이라크 정부가 향후 전력공급과 관련해 올바른 방향으로 들어섰다고 평하고 있지만, 이라크 내에서의 IPP 모델의 적용은 쉬운 것은 아니다. 가장 대표적인 문제는 전력요금 문제로 이라크의 전력요금이 1990년대 이후로 생산원가 이하로 유지된다는 점이다.
이라크의 전력요금은 2003년 이후 kWh당 0.01달러로 책정돼 있으며, 실질적인 생산원가는 kWh당 0.10달러 정도로 추산된다. 실질적으로 개별 발전기를 통한 발전단가는 kWh 0.13달러 정도로, 이라크 국민의 실질적 부담은 그리 크게 증가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력요금의 현실화(자유화)는 그동안의 복지체제에 길들여진 이라크 국민의 저항을 야기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게다가 이라크는 준내전 상태로 Moody's, S&P 등의 국제신용평가기관으로부터 신용등급도 받지 못한 상태이다. 이런 상황에서 수억 달러의 자금이 소요되는 프로젝트에 선뜻 자금을 빌려줄 국제적인 투자가를 구하기는 쉽지가 않을 전망이다.

 

 

시사점

 

이라크 전력 수급의 문제는 이라크 정부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로 이라크 정부는 이라크 전력시장 복구 및 확충뿐 아니라 전기요금제도 개선, 이를 뒷받침해줄 법적인 규제 및 효율적인 제도 마련 또한 중요하다. 한국 업체들의 경우, 이라크 정부군이 ISIL 반군을 축출해 나가는 현 상황을 기점으로 당분간 이라크 정부가 추진하는 전력관련 정부조달 프로젝트를 세밀하게 모니터링해야 할 필요가 있다. 대이라크 원조자금, 국제기구의 전력 프로젝트 동향 등을 세심하게 살피고 이로부터 사업 기회를 창출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더 나아가 이연지급 등 이라크 정부의 가려운 곳을 긁어줄 수 있는 금융분야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종합적 패키지 구성 능력이 현재의 이라크 전력시장 진출에 가장 중요한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이라크 전력플랜트시장이 나아갈 길
:
Posted by 매실총각

개요

 

이라크는 풍부한 석유부존자원 등으로 인해 걸프전 이전까지만 해도 정점 수요량을 넘는 발전용량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걸프전 이후로 다수의 전력 관련 기간시설이 파괴되면서 만성적인 전력부족을 겪었다.
사담 후세인이 실각한 2003년 이후 전력 부문은 이라크 재건의 핵심 항목으로 지목됐으나 그 뒤를 이은 종파분쟁 및 정치적 혼란 등으로 인해 당초 목표달성에 차질이 발생했고, 거기다가 극심한 관료부문의 부정부패까지 가세해 이라크의 전력수급 균형 달성에 걸림돌로 작용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2014년 6월부터 본격화된 ISIL 사태는 광범위한 전력망은 물론 발전시설이 파괴되는 등 전력시장에 교란을 발생시켰다.

 

 

이라크 전력수급 현황

 

가장 최근 연구인 2012년 자료에 따르면, 이라크(쿠르디스탄 제외)는 2012년 현재 전체 전력 수요의 48%만을 충족하며 이 같은 사정은 2년이 지난 시점에도 거의 비슷한 실정이다. 2014년 기준, 총 1만 6,000㎿ 규모의 발전여력이 설치됐으나 각종 개발사업 등으로 그만큼 전력수요가 증가해 전반적인 자급률은 크게 변동이 없는 상황이다.
발전소의 발전량도 문제지만 변전소와 송전라인 역시 노후화되거나 파손된 부분이 많아서 송배전 과정에서 손실되는 전력도 매우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쿠르디스탄의 경우 2014년 현재 24시간 상시 전력공급이 가능해졌으나, 이를 제외한 여타 이라크 지역의 경우에는 공공 전력망을 통한 전력공급시간이 하루 24시간 중 7.6시간에 지나지 않는 실정이다. 이 같은 공공전력 공급시간은 에어컨 등 냉방시설 가동이 활발해지는 여름철에 더욱 줄어들고 냉방수요가 줄어드는 가을-겨울철에 길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라크는 이와 같은 전력부족분을 메우기 위해 인근 터키와 이란으로부터 연간 10억 달러 가량의 전력을 수입하고 있으나, 이를 통한 충족분은 그리 크지 않으며 일반 가정 및 민간의 대다수는 가정용 소형발전기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고 있다.
부유층에서는 독자적으로 소형발전기를 가동시키고 중하층에서는 인근지역에서 소형발전기를 가동하는 개별 민간 기업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방식으로 이렇게 해서 해결되는 전력공급은 전체의 8%에 이른다.
이 같은 자가발전방식을 통해 당장 급한 전력공급 문제는 해결할 수 있지만, 1가구 당 월 1,000달러까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바그다드 공기오염의 주범이 돼 이라크 정부 입장에서는 이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것이 주요한 정책과제로 꼽히고 있다. 전력원별로는 풍부한 가스, 디젤 등을 통한 화력발전이 대종을 이루며 모술, 하디타 등 수력발전을 통해 공급하는 전력은 전체 전력원의 17%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라크표1.jpg

 

 

이라크 정부의 전력 증산 계획

 

이라크 전력부는 2012~2017년간 중장기 계획을 통해 발전소 및 송전망 건설에 270억 달러를 투입하고, 2015년 경에는 이라크 발전 수급균형을 달성하겠다고 계획했다. 이를 통해 상기 기간 중 2만 4,400㎿의 발전여력을 확충할 생각이다.
현재 업계인사에 따르면 정부는 상기 2만 4,400㎿로 계획된 프로젝트 중에서 절반 가량은 현재 건설 중이고, 5,674㎿가 입찰 진행 중이며, 6,000㎿를 독립발전사업(IPP)으로 해결한다는 복안이다.
이라크 정부의 당초 계획에서는 상기 기간 중 이라크에서 풍부하게 발생하는 가스를 활용하는 한편, 기존의 단순화력을 복합화력 등등으로 전환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독립발전사(IPP)의 투자유치를 적극적으로 추진, 점진적인 개선을 이뤄내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라크표2.jpg

이라크사진1.jpg

 

▲ 이라크 일반 민가에서 활용하는 가정용 소형발전기 모습(출처. KOTRA 바그다드 무역관)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이라크 전력수급 현황 및 정부 대책
:
Posted by 매실총각

LS산전이라크변전소.jpg

 

 

LS산전, 이라크 변전소 프로젝트 수주 릴레이

 

LS산전이 이라크 정부가 발주한 132kV/33kV GIS(Gas Insulated Switchgear; 가스절연개폐장치) 변전소 프로젝트 4개 구축 사업에 대한 최종 계약을 체결해 중동 시장으로부터의 두터운 신뢰를 입증했다.

금액은 4,580만달러(한화 약 504억원)로 LS산전이 단일 GIS 변전소 프로젝트로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는 최대 규모다.

지난 1월 3,940만달러 GIS 변전소 프로젝트 수주에 이어 올해 두 번째 성과를 거둠으로써, LS산전은 이라크 재건 사업에서만 2011년부터 현재까지 총 2억9,200만 달러(한화 약 3,303억원) 규모의 변전소를 구축하게 됐다. 이를 위해 이정철 LS산전 T&D(Transmission & Distribution) 사업부문장과 압둘라작(Abdul Razzaq N Aylan) 이라크 전력부 송전청(ETP)장이 이라크 전력부(MOE) 카림 아프탄(Kareem Aftan) 장관 등 주요인사 20여 명을 초청한 가운데, 바그다드에 위치한 전력부 본사에서 변전소 프로젝트 구축을 위한 최종 계약식을 체결했다.

132/33kV급 GIS(Gas Insulated Switchgear; 가스절연개폐장치) 변전소는, 발전소에서 생산된 초고압의 전압을 각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쓸 수 있도록 변압시키고 분배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설치 지역은 이라크 수도 바그다드에 2개, 모슬, 카르발라 지역에 각각 1개소로, 계약 시점 이후부터 12개월 이내에 기자재를 공급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LS산전은 입찰과정에서 지멘스, ABB 등 이미 세계적으로 기술력이 검증된 글로벌 기업과 경쟁해 성과를 거둠으로써, 기술력과 신뢰성을 다시 한번 입증시켰다.

한편, 4월 초에는 ‘이라크-한국 비즈니스 포럼’이 한국 코트라와 이라크 NIC(National Investment Commission) 주최로 바그다드에서 이라크 알 말리키(H.E. Nouri Al Maliki) 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개최돼, 이라크 정부가 지난해부터 2017년까지 6년간 945억달러를 전력 재건 사업에 투자한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출처: LS산전>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LS산전, 이라크 변전소 프로젝트 수주 릴레이
:
Posted by 매실총각

STX중공업, 이라크서 2,200억원 규모 플랜트 수주





 

 

STX중공업이 에니社(Ente Nazionale Idrocarburi), 옥시덴탈석유社(Occidental Petroleum), 한국가스공사로 구성된 에니 컨소시움으로부터 2,200억원 규모의 이라크 오일 & 가스처리플랜트를 수주했다고 최근 밝혔다.

STX는 2014년 4월 완공을 목표로 이라크 바스라(Basrah)주 쥬바이르(Zubair) 유전에서 플랜트 건설을 시작하게 되며 완공시 하루에 80,000배럴의 원유를 오일과 가스로 분리, 생산할 수 있게 된다.

STX중공업은 오일 및 가스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처리플랜트를 설계부터 기자재 구매, 시공까지 담당하는 EPC(Engineering, Procurement & Construction) 턴키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된다.

이번 수주를 통해 STX중공업은 이라크에서 원유 증산을 위해 대규모 발주가 예상되는 업스트림(Up-stream) 화공플랜트 분야에 본격적으로 진입하게 됐다.

특히 세계 4위 규모의 원유 매장량을 가진 이라크에서의 오일 & 가스처리플랜트 수주는 향후 중동 지역의 업스트림 플랜트사업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발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번 오일 & 가스처리플랜트는 이라크 바스라 지역에 이뤄지는 최초의 해외투자로 향후 50억불 규모의 추가 해외투자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STX는 지난 6월 이라크 지역에서 1조원 규모의 디젤발전플랜트 상업운전을 시작하는 등 중동 지역에서 활발한 플랜트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한편, 컨소시움 대표사인 에니社는 이탈리아 국영기업으로 석유 및 천연가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STX중공업 관계자는 “이번 프로젝트 수주는 이라크 디젤발전플랜트 등 중동 지역에서 보여준 프로젝트 수행 능력을 인정 받은 성과”라며 “이번 수주를 발판으로 향후 이라크 지역에서의 사업 다각화 및 추가 수주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STX>

:
Posted by 매실총각

STX, 이라크 디젤발전플랜트 상업운전 시작




 

 

STX중공업이 이라크에서 건설 중인 대규모 디젤발전플랜트의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STX중공업은 지난 6월 17일 이라크 디와니야(Diwaniyah)에서 이희범 STX중공업 건설회장, 이찬우 STX중공업 사장, 알 샤리스타니(Hussain Al-Syahristani) 이라크 부총리, 카림 아프탄 알 주마일리(Kareem Aftan Al-Jumaily) 이라크 전력부 장관, 김현명 주이라크 한국 대사, 사림 후세인 알완(Salim Hussain Alwan) 디와니야 주지사 등 사업관계자 및 이라크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디젤발전플랜트 상업운전 기념식을 개최했다.

STX중공업은 지난해 5월 이라크 전력부와 대규모 디젤발전플랜트 건설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 중 1단계로 이라크 내에서 전력 확보가 가장 시급한 지역인 디와니야(Diwaniyah), 카르발라(Karbala), 미싼(Missan)의 3개 지역에 900MW 규모의 디젤발전플랜트 완공을 눈앞에 두고 있으며 17일 상업 운전을 시작했다. 알 샤리스타니 이라크 부총리는 축사를 통해 “STX가 디젤발전플랜트 건설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이라크 국민에게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면서 “STX와 제철소 건설 공사 및 추가 프로젝트도 함께 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STX중공업 관계자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단기간 내에 차질 없이 수행하며 플랜트 시공능력을 다시 한번 인정받게 됐다”면서 “이번 프로젝트 성공을 바탕으로 추가적인 수주활동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STX>

:
Posted by 매실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