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압 높으면 전선의 굵기는 상대적 적어져야
Q. 안녕하세요. 자동역률조정기(APFR) 점검중 VCB 트립 발생되었습니다. 역률이 떨어져서 자동 역률조정기 APFR 이의 Power Reset을 위해 PT단자를 취외하는 순간 6.6KV Incoming VCB가 51G 및 27계전기 동작으로 Trip 되었습니다. APFR 모델은BELUK회사 제품이며 RESRT을 위해서는 단자를 취외할수 밖에 없는 모델입니다. 저의 개인적인 생각은 PT단자를 취외하는 순간 CT의 한 상이 오픈되어 결상이 된 경우 같습니다. 정확한 원인을 알고 싶으니 고수님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A. 당연히 Trip이 됩니다. APFR은 전압 & 전류 그러니까 PT & CT에서 Source를 받아 동작합니다. 51G는 CT에서 APFR과 같이Loope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즉 직렬 Series로 되어 있지요. 그런데 CT Line이 단선되면 영상전류 즉 불평형 전류가 흐르는(잔류전류) Line으로 전류가 흘러 지락으로 인지 Trip이 된 것입니다. 27계전기는 System구성시 같은 PT에서 사용하면서 APFR보다후단에 설치되었을 경우 동작이 됩니다. 해서 수전반의 CT & PT와 관련된 작업을 할때는 필히 계전기관련을 검토하고 CTT & PTT를 안전하게 조치를 한 다음 하여야 합니다. 본인도 지난일이지만 VCB를 Trip 시킨적이 있습니다.
Q. 기존에 인버터로 모터 구동을 하고 있는데요. 추가로 볼륨저항을 달아 주파수 제어로 속도제어를 할려고 하는데요. 인버터 결선법 알려주세요. VR + V1 + CM을 어떻게 결선하면 외부볼륨으로 모터 속도조정 하는게 되는지요? 고수님들 부탁드려요. 또p1과 cm도 다시 결선을 해주어야 하나요? 파라메타는 어떤 걸 바꾸어 주어야 하나요?
A. 첫 번째 질문은 저항 1~5 KΩ. 0.5w 이상 쓰시고 VR.V1.CM 에 연결 하신 다음 드라이브그룹 Frq 값을 3으로 하십시오. 두 번째 질문은 인버터에 장착된 터치패드로 ON/OFF 하시면 CM-P1은 결선하실 필요 없습니다. 만약 외부에서 스위치로 ON/OFF 하시려면 CM-P1에 스위치 접점을 연결 하시고 드라이브그룹 Drv 값을 1로 하십시오.
Q. 전기 완전초보입니다. 저희 건물 지하층에 전등라인 누전차단기가 트립되어서 복귀가 안됩니다. 전등라인이 있는 장소는 수족관 여과설비가 되어 있는 관계로 상당히 습합니다. 그래서 제습기(40L용량)를 설치하여 하루동안 가동하고 나니 차단기가 다시 복귀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전등라인이 있는 곳에서 스위치로 전등을 끄고 다시 켜보니 켜지지가 않습니다. 분전함을 확인하니 차단기가 또다시 떨어져있었습니다. 차단기를 다시 복귀시켜보니 복귀되지 않고 계속 트립됩니다. 스위치를 켜놓고 차단기를 올리면 차단기가 올라갑니다. 그런데 스위치를 다시 끄면 차단기는 떨어집니다. 누전체크를 해봐야 되는건지? 어떻게 누전 체크를 하는지 상세히 설명 좀해주십시오.
A. 누전이란 정상적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고 비정상적으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말합니다. 즉 접지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말합니다. 전류가 흐르려면 길이 만들어져야 흐릅니다. 접지로 전류가 흐를수 있도록 길이 만들어졌다는 것입니다. 그것을 점검하는 것이 절연점검입니다. 이것은 정상인 회로와 접지간에 저항을 측정하여 확인을 합니다. 길이 아니어냐 하므로 저항으로 측정하면저항값이 매우 크게 나와야 합니다. 그런데 저항값이 적게 나오면 전류가 잘흐르도록 길이 잘 났다는 것입니다. 측정기기는 절연Tester로 측정하면 됩니다. 기본은 220V에서는 0.2㏁ 이상이면 됩니다. 현재 상태는 절연이 무진장 나쁜 상태입니다. 점검하여 수리하여야 합니다.
Q. 안녕하십니까. 갓 공사업에 뛰어든 사람입니다. 그런데 분명 자격증은 취득했으나. 차단기 용량 선정법이 기억나질 않네요. 책을 봐도 도통 무슨 얘기인지 모르겠구요.
1. 부하전류는 어떻게 구하는 거죠?
2. 누전차단기 용량 설정할때 누설전류값도 포함을 시켜야 하는데 누설전류는 어떻게 알 수 있죠?
3. 용량은 어떤 공식에 의해 구해지는 겁니까.
A. 1. 부하기기에 적혀진 정격전류를 가지고 기본으로 하지만 없을 경우엔 부하용량을 가지고 계산을 합니다.
2. 누설전류는 차단과 관련이 있고 용량과는 상관이 없습니다.
3. 일반부하에서는 부하정격의 1.25배 이상이 되도록 하면 됩니다. 그리고 Motor에서는 직입기동시 정격전류의 3배로 합니다.
Q. 총길이 6,000m의 선로에 35sq/4c케이블로 380/220v로 포설하여 1,000m간격으로 단상부하를(2kw) 5개소에 설치하고5,500m지점에 단상부하(5kw)1개소를 설치하여 운영 할려고 합니다. 전압강하가 만만치 않을 것 같아서 케이블 사이즈 변경없이장비들을 운영할 수 있느 방법이 없을까요? 배관은 이미 포설한 관계로 트랜스를 사용하려고 합니다.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A. 거리가 만만치 않군요. 기본적으로 전압을 높이면 전선의 굵기는 상대적으로 전류가 비례하여 적어지므로 전압강하가 적어집니다. 부하가 2kW씩이라면 380/220v로 공급시에 10A씩이 되겠네요. 2kW의 부하가 1회로인지는 모르겠네요. 아무튼 거리가 넘멀어 10A라도 전압강하 무시 못하는 전류입니다. 상황으로 보아 이미 전선과 배관은 한 상태 같습니다.상기의 경우라면 낚시꾼은 여러 회로라면 Cable이 허용한 전압으로 최대한 전압을 높여서 전압은 750/450V로 3상으로 보내고 부하 Feeder를 각 지점마다 만들고 거기에서 다시 Down TR을 설치하면 될 것 같습니다.
Q. 에어컨 결선법 궁금합니다(부하측) RSTN 이렇게 차단기가 있네요. 선은 3C 2C, 에어컨 3상이 RST에 물렸있고(3C) 나머지 두선(2C)은 어디에 물려놓을지 모르겠습니다. 아마도 실외기 전원선 같은데 어디에 물려놓을지 모르겠습니다. 전에 한선은 n상에물려있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시험삼아 t상에 하나물리고 n상에 물려놓으니깐 바로 트립됩니다. 실외기 220v인것같고 압축기가380v 라고 적혀 있더군요. 그리고 N상에 2C에 물려놓으니 에어컨이 작동되다가 실외기가 돌아가는 동시에 에어컨이 정지됩니다.제가 지식이 좀 부족하여 질문하는데 좀 어렵네요.
A. 3상 에어컨 결선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일단 전원케이블은 분전함 차단기에서 실외기로(3상4선 또는 3상3선)가고 실외기에서 단상을 끌어서 실내기로 연결합니다.
1. 실외기 내에 트랜스가 있어서 380V를 220V로
변환가능할 때
분전함 차단기(r, s, t) 3상3선
→ 실외기(r, s, t) 단자
→ 실외기내의 트랜스(r, s, t 중 아무거나 두개를 트랜스에 연결)
→ 실내기(220V)
2. 실외기 내에 트랜스가 없을 때
분전함 차단기(r, s, t, n) 3상4선
→ 실외기(r, s, t, n) 단자
→ 실내기(r, s, t 중 한선과 N) 220V
Q. 안녕하세요. C형 릴레이와 H형 릴레이의 에이징 테스트를 단시간에 처리해야 할 일이 생겼는데요. 50~92V 사이에서 접점과Coil이 고장나는 시점을 테스트 해 보려합니다. 단시간에 에이징 테스트 하는 좋은 방법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A. 테스트를 테스트로 끝낼 것이면 님의 생각이 좋지만, 테스트결과를 제품사용의 자료로 사용할 것이면 적당한 방법이 아닙니다. 테스트의 결과에는 객관성이라는 것이 중요합니다. 객관성이 증명되려면 테스트 환경, 장비신뢰도, 방법이 시험규격대로 실행되어야 합니다. 궁금해서 개인적으로 해보시는 데는, 제한된 방법으로 특정한 환경을 전제로 해야 합니다.에이징이란 말 그대로 시간의 흐름이 필요한 시험입니다. 단기간에 주위온도나 전압.전류만 맞춰 시험하면 릴레이 내부에 있는스프링이나, 접점주변의 금속피로도, 플라스틱 패키지의 변형이나 약화, 개폐횟수와 반복시간에 따른 접점표면의 변형 정도는 알수 없습니다. 이러한 요소는 굉장히 중요한 것들입니다. 릴레이를 정격전압에서 사용해도 작동불능이 되는 요소들이거든요. 따라서 제조업체에 질문서를 보내서 분석하는 것이 나름대로 최선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해보고 싶으시면 주위온도 60도 정도 되는 환경을 만들어 접점최대 전류의 부하를 연결하고 SSR스위치로 온/오프하고 시그널 발생기로 SSR구동신호를 가변적으로 주시면 어느정도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Q. 저희 아파트에는 유입변압기가 설치되어있습니다. 변압기에는 온도계가 설치 되어있구요. 매일 온도를 체크하는데 요즘46~48도 정도 나오네요. 제가 궁금한건 절연파괴나 문제가 발생하지안게 하기위해 지켜야하는 온도한계점입니다. 보통 최고 허용온도나 권선온도상승한도로 계산한다고 하는데 저희 변압기에는 유 온도상승(50도)만 표시되어있습니다. 계산법도 모르겠고온도는 자꾸 올라가고 걱정입니다. 계산법이나 방법 부탁합니다.
A. 유입변압기 유온도는 50도 권선온도55도 입니다. 이건 JEC라는 일본규정이구요. 유입변압기는 통상적으로 A종절연물을 사용하기 때 유온도보다 5도 높다고 보고 있고 여유 온도라 함은 권선의 안쪽과 바깥쪽이 온도가 같지 않으므로 10도의 여유를 주는겁니다.(안쪽코일이 열이 더날수 있으므로) 또한 이건 일반 호흡기타입이구요. 콘서베이터 타입은 밀봉타입이므로 유온도상승한계가 55도입니다.
하지만 근래는 JEC보다는 국제규정인 IEC를 많이 쓰는데요. IEC는 유온도 60도 권선온도 65입니다. 같은 A종이라 하더라도 여유온도 10도를 쳐주지 않죠. 다시 설명하자면 유 온도상승한계는 60도(권선온도상승한계는 65도) 최대주위온도 40도 지금 쓰고계시는 변압기의 온도계표시가 47도이므로 주위온도 뺀 변압기만의 유온은 47-25(주위온도) = 22도
따라서 JEC규정으로 봤을때 28도의 여유가 있는 거네요. 변압기에 부착되어 있는 온도계의 지침이 90도 이상을 지시하지 않으면변압기는 정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겁니다.
Q. 모터부하나, MOLD TR부하의 경우에 VCB 2차단에 Surge Absorbar나 Surge Arrester를 설치하는데요.그렇다면 VCB의 개폐서지의 방향은 전원측이 아니라, 부하측이라고 생각되어 지는데 이러한 제 생각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서지의 방향에 대해서 서술된 기술서나, 논문이 있으면 알려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A. 제가 답변드리고자 할 내용은 변압기 1차측 또는 VCB2차측 입니다. 제가 윗글에서 언급한것은 부하측을 VCB 2차측을 이야기 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SA설치는 변압기 1차측이 맞습니다. 이상전압은 변압기 또는 변압기 2차측(부하)의 인덕턴스에 의해발생 하는 것입니다. 서지는 부하측으로부터 전원측으로 진행한다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변압기 1차측에 SA설치하는 이유는 VCB를 차단할때 또는 트립될때 개폐서지가 발생하는것은 맞습니다. 그이유는 변압기 내부인덕턴스에 저장된 에너지가 어디론가 발산이 되어야 합니다. 그 에너지가 발산되는 것이 임펄스 형태 전압입니다. e=-L×di/dt 에서 dt가 무지하게 작고 di는 부하전류 이므로 큰전류가 흐를 것입니다. 또한 L(인덕턴스)크고 그러면 e(이상전압)가 커지게 됩니다.즉 차단기 차단시간이 짧으냐 기냐에 따라 이상전압은 달라지게 됩니다. 이것이 파라데이 전자유도법칙입니다. 변압기 절연물손상을 막기 위해 SA를 설치하는 것이 아닙니다. 결론을 드리자면 차단기 트립, 차단시 부하측, 변압기 인덕턴스 에의해 저장된 에너지가 발산이 되어 임펄스전압으로 되어 전원측으로 진행하는 것을 막기위해 SA를 변압기 1차측 VCB2차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